
6·27 대출 규제로 인해 관망세가 짙어지면서 침체했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21개 구의 8월 거래량이 7월 거래량을 넘어서는 등 다시 수요가 꿈틀거리는 모습이다.
2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서울 아파트 8월 매매 거래량(계약해제 건 제외)은 총 4017건으로 7월의 3945건을 넘어섰다. 8월 거래량은 아직 거래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로 열흘 가까이 남아 있는 상황에서 이미 7월 거래량을 넘어선 것이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6월에 1만건 이상을 기록했으나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조건부 전세자금대출을 중단한 6·27 대출 규제 이후 주춤하며 7월 거래량은 4000건 미만으로 줄었다.
업계에서는 지난달 다시 거래량이 늘기 시작한 만큼 이 추세가 이어지면 8월 거래량은 5000건에 육박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한강벨트 지역과 대출 규제의 영향이 적은 강북 지역이 견인했다. 성동구는 현재까지 8월 매매 신고 건수가 총 197건으로 7월(102건)의 2배 수준(93.1%)을 기록하며 25개 구 가운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또 성북구(329건)가 전월 대비 67.0% 증가하며 뒤를 이었고, 강동구(65.3%), 중구(48.6%), 마포구(44.2%), 동작구(36.6%), 광진구(24.6%) 등 한강벨트 위주로 거래량 증가세가 뚜렷했다.
한강벨트의 거래량 증가는 아파트값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성동구 아파트값은 지난주 0.41% 올라 지난주(0.27%)보다 상승 폭이 크게 확대됐다. 마포구 역시 지난주 0.28%, 광진구도 0.26% 오르며 각각 전주(0.17%, 0.20%)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확대 가능성에 매수세가 몰리며 거래 증가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한강벨트 등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당분간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 9·7 공급대책에 대한 시장의 실망감이 큰 데다 다음 달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정부가 규제 카드를 쓸 가능성이 큰 만큼 상황을 당분간 지켜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2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서울 아파트 8월 매매 거래량(계약해제 건 제외)은 총 4017건으로 7월의 3945건을 넘어섰다. 8월 거래량은 아직 거래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로 열흘 가까이 남아 있는 상황에서 이미 7월 거래량을 넘어선 것이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6월에 1만건 이상을 기록했으나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조건부 전세자금대출을 중단한 6·27 대출 규제 이후 주춤하며 7월 거래량은 4000건 미만으로 줄었다.
업계에서는 지난달 다시 거래량이 늘기 시작한 만큼 이 추세가 이어지면 8월 거래량은 5000건에 육박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또 성북구(329건)가 전월 대비 67.0% 증가하며 뒤를 이었고, 강동구(65.3%), 중구(48.6%), 마포구(44.2%), 동작구(36.6%), 광진구(24.6%) 등 한강벨트 위주로 거래량 증가세가 뚜렷했다.
한강벨트의 거래량 증가는 아파트값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성동구 아파트값은 지난주 0.41% 올라 지난주(0.27%)보다 상승 폭이 크게 확대됐다. 마포구 역시 지난주 0.28%, 광진구도 0.26% 오르며 각각 전주(0.17%, 0.20%)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확대 가능성에 매수세가 몰리며 거래 증가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한강벨트 등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당분간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 9·7 공급대책에 대한 시장의 실망감이 큰 데다 다음 달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정부가 규제 카드를 쓸 가능성이 큰 만큼 상황을 당분간 지켜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