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간 李 "美요구대로 3500억 달러 투자땐 금융위기 재현"

  • 유엔총회 앞두고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 공개

  • "투자처리 방식 이견에 합의 내용 문서화 못해"

  • 한국인 美구금사태 "한·미 동맹 해치진 않을 것"

 유엔총회 참석차 출국하는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2일 성남 서울공항 공군 1호기에서 인사하고 있다
유엔총회 참석차 출국하는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2일 성남 서울공항 공군 1호기에서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3500억 달러(약 486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와 관련해 "통화 스와프 없이 미국이 요구하는 방식대로 전액 현금으로 3500억 달러를 인출해 투자한다면 한국은 1997년 외환위기와 유사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이 대통령은 22일(한국 시간) 공개된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투자의 상업적 타당성이 미국과의 통상 협상의 주요 걸림돌"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한미 양국은 지난 7월 말 관세와 관련한 큰 틀의 협정을 맺었으나, 대미 투자 펀드의 규모와 운용 방식을 두고는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미국이 지정한 투자처에 한국이 현금을 직접 지원하고 투자 수익의 90%를 미국이 가져가는 방식을 요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투자 처리 방식에 대한 이견 때문에 아직 합의 내용을 문서화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은 지난 7월 미국과 무역협정을 체결한 일본과 다르다"며 "일본은 한국의 외환보유액 4100억달러의 두 배 이상을 보유 중이고 미국과 통화 스와프도 체결 중"이라고 부연했다.

다만 그러면서도 한미 관계에 대해 "혈맹 관계인 두 나라 사이에서 최소한의 합리성은 유지될 것이라 믿는다"며 "이 불안정한 상황은 가능한 조속히 끝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이달 초 미국 조지아주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근로자가 구금된 사건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그는 "우리 국민들은 근로자에 수갑을 채우는 등 참혹한 대우에 분노했다"며 "기업들이 미국에 대한 투자를 경계하게 만들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이번 구금 사태로 한미 동맹이 약화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대통령은 "구금 조치가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가 아닌 과도한 법 집행의 결과라고 생각한다"며 "미국이 이번 사태에 대해 사과했고 (양측이) 합리적 조치를 모색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인터뷰는 지난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됐다. 이 대통령은 이날부터 3박 5일 일정으로 미국 뉴욕을 방문해 제80차 유엔총회에 참석한다. 23일에는 196개국 정상 가운데 7번째 순서로 기조연설에 나선다. 이 대통령은 연설에서 12·3 비상계엄 사태를 통해 한국이 민주주의와 평화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국제사회에 복귀했음을 선언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