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24일(현지시간) 미국이 추진 중인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송유관 건설 사업에 한국 기업의 참여 여부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라이트 장관은 이날 뉴욕 외신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일본·한국 등 아시아 기업을 비롯해 여러 기업과 (사업 참여를)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알래스카 LNG 사업 가능성은 상당히 강해 보이며, 이 프로젝트는 향후 12개월 내로 착공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건설에는 몇 년 걸리겠지만, 가장 큰 장점은 동아시아의 일본 같은 우리의 훌륭한 동맹국까지 선박 운송 거리가 매우 짧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라이트 장관은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그곳에서 생산될 가스는 다른 어떤 LNG 수출 터미널에서 나오는 가스보다 비싸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라고 덧붙였다.
이 프로젝트는 알래스카 북단 프루도베이 가스전에서 채굴한 천연가스를 807마일(약 1297㎞) 길이의 송유관으로 앵커리지 인근 부동항까지 이송한 뒤 액화해 아시아 등으로 수출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초기 투자 규모는 약 450억 달러(약 64조원)로 추산된다.
라이트 장관은 "50년 전 석유 수출을 위해 알래스카 북부 사면에서 해안 지역까지 석유 파이프라인을 2년 만에 건설했다"며 "가스 파이프라인은 동일한 경로를 따라갈 것인 만큼 도로와 지원 시설, 파이프라인 경로는 대부분 이미 있고, 따라서 첫 파이프라인을 건설할 때보다 훨씬 수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프로젝트에 자본을 제공할 주체로 "미국 기업과 아시아 기업이 혼합된 형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확신한다"며 "미국 에너지부가 신용 지원 등으로 일부를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가장 먼저 참여 가능성을 열어뒀다. 최근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알래스카 가스라인 개발공사(AGDC)와 함께 민간 투자자로 참여한 에너지 기업 글렌파른과 LNG 도입 등 예비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포스코이앤씨도 국내외 LNG 터미널 건설 경험이 있어 이 사업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