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랜드 '콤프' 5700억원 지급...김동아 "관리 체계 강화해야"

  • 콤프 사용 지역 가맹점 1600 여 개 늘었지만 관리인력 소수

강원랜드 카지노 사진연합뉴스
강원랜드 카지노 [사진=연합뉴스]
강원랜드의 최근 5년간 콤프 지급 규모가 총 5700억원에 달했으나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콤프깡'이 확산되고 있는데도 관리·감독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3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동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서대문갑)은 강원랜드로부터 제출받은 '콤프 제도 운영 현황'자료를 토대로 이 같이 밝혔다.

강원랜드에서 시행중인 콤프는 카지노에서 고객 유치를 위해 무료로 숙식이나 교통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마일리지 제도를 말한다. 콤프는 영어 단어 Complimentary에서 유래했으며 카지노 이용 고객에게 숙박이나 식사 등 내부 시설을 무료로 제공함과 더불어 지역 경제 상생을 위해 지역 가맹점으로 사용처를 확장해 현금처럼 쓸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콤프는 지난 2021년 1236억원, 2022년 1136억 원, 2023년 1175억 원, 2024년 1242억 원, 2025년 8월까지 912억원 등 최근 5년간 지급된 규모가 총 5701억원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강원랜드 전체 평균 매출의 약 10퍼센트에 달하는 규모로, 콤프는 사실상 관리·감독이 부실해 제도의 허점이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이 끊임 없이 제기되고 있다. 강원랜드가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콤프 불법 사용 적발 건수는 △2020년 1건 △2021년 2건 △2022년 0건 △2023년 1건에 그쳤다. 

그러다가 지난해 실사 강화와 제보 접수가 본격화되면서 한 해 동안 무려 29건의 콤프깡 사례가 적발됐다. 이는 단속이 강화된 결과이지만, 동시에 그동안 얼마나 많은 불법 거래가 제대로 걸러지지 않았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문제는 관리 인력과 법적 근거 모두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단말기 이동 등 기술적 회피 방법은 날로 정교해지는데, 약 1600개 가맹점을 단 4명의 현장실사 인력이 관리하고 있다. 현행법상 직접 처벌할 수 있는 근거도 없어 사건을 경찰에 넘겨도 솜방망이 처벌에 무혐의로 끝나는 실정이다.

김동아 의원은 "강원랜드 콤프 제도가 지역 상생을 위한 취지로 시작됐지만 콤프 불법 사용으로 오히려 지역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며 "지역경제에 영향이 큰 만큼 법적 제도를 정비하고, 인력 충원 등 관리 체계를 강화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근본적인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