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I는 통계의 국제교류 증진을 위해 각 국가·국제기구의 통계작성기관, 통계학자 등으로 구성된 국제통계 조직이다. WSC는 통계 발전을 논의하고 일자리·지식을 공유하는 통계 올림픽으로 2년 마다 개최되고 있다.
2027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제66차 WSC는 지난 2001년 53차 서울 대회에 이어 26년 만에 국내에서 진행되는 것이다. 전세계 3000여명의 통계인들의 참석이 예정된다.
정부는 2027년 WSC 개최를 통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데이터 연계·활용 등 한국의 혁신적 통계·데이터 기술 연구 성과를 전 세계에 공유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세계적인 선진 기술의 국내 도입을 확대·촉진하고 국내 전문가들의 연구성과 발표·국내외 취업기회 확대가 기대된다.
또 "인구위기 극복, 삶의 질 향상 등 통계기반 정책 지원을 위한 통계를 확충할 것"이라며 "이용자 친화적으로 통계·데이터를 서비스해 국가통계 관리체계 개선과 거버넌스 강화 등에 나설 예정"이라며 주요 추진 정책을 소개했다.
특히 국가데이터처의 △AI 메타데이터 전략 △통계데이터 융복합 기능 강화를 위한 통계등록부 구축 △인구소멸지역 지원을 위한 생활 인구통계 등 한국의 혁신 사례 등을 공유했다.
이와 함께 김 단장은 ISI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등 국제기구 고위급 인사와 영국, 네덜란드, 체코, 폴란드, 핀란드 등 참가국 통계청장과의 면담을 통해 상호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또 부산에서 개최하는 제66차 세계통계대회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요청했다.
안형준 국가데이터처장은 "통계인들의 올림픽인 WSC를 오는 2027년 부산에서 개최하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한국의 높아진 국제적 위상을 다시 한 번 확인한 만큼 성공적인 대회 개최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국제사회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