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취임 5주년②] 현대차·기아 영업익 380% 급증… 미래 투자도 강화

  • 2022년부터 매해 매출·영업이익 기록 경신

  • 올해 국내 투자 24.3조… 역대 최대 규모

  • 통상 리스크 등 핵심 현안 대응 해법 모색

사진현대차
[사진=현대차]
현대차그룹은 정의선 회장 취임 이후 지난 5년간 구조적 체질 개선을 지속하며 판매와 경영실적 등 다양한 부문에서 높은 성장을 이뤄냈다.

2019년 글로벌 완성차 판매 5위였던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세계 시장에서 총 723만여대의 차량을 판매하며 2022년 이후 이어지고 있는 일본 토요타, 독일 폭스바겐과의 3강 체제를 굳게 지켰다.

현대차·기아의 합산 매출액은 2019년 163조8924억원에서 2024년 282조6800억원으로 크게 늘었고, 같은 기간 합산 영업이익은 5조6152억원에서 26조9067억원으로 380% 급증했다. 2022년부터 3년 동안 매해 최대 매출 및 영업이익을 경신한 것이다.

특히 현대차·기아는 올해 상반기 미국 관세 등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도 13조86억원의 합산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반기 기준 사상 처음 글로벌 2위에 올랐다. 영업이익률은 8.7%로 폭스바겐(4.2%)을 비롯한 경쟁업체들의 영업이익률을 2배 이상 상회했다.

현대차그룹의 약진은 코로나19와 지정학적 리스크, 공급망 위기, 세계 통상 질서 재편 등 경영 환경을 둘러싼 각종 위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이뤄낸 만큼 업계에서는 의사결정 및 고객 중심의 발상 전환 등을 중시한 정 회장의 리더십에 주목하고 있다.

정 회장이 취임한 2020년 전후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세계 경제에 막대한 타격을 미치던 시점이었다. 중국을 비롯한 다수 국가에서 실시된 봉쇄 조치로 차량 전자부품 등을 연결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공급이 끊겨 글로벌 주요 완성차 기업들의 생산에 큰 차질이 빚어졌다.

2021년에는 차량용 반도체 품귀 현상이 불거지며 주요 업체들의 공장이 멈춰 섰고, 이듬해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공급망 불안정이 한층 심화됐다.

이에 더해 전기차의 일시적 수요 정체, 중국 등 신흥 완성차 업체들의 거센 도전,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보호 무역주의까지 예측 불허의 복합위기는 지난 5년 내내 글로벌 자동차 산업을 뒤흔들었다.

현대차·기아는 코로나19 여파에 맞서 부품 운영의 유연한 조정을 통해 생산 차질을 최소화함으로써 2021년 자동차 수요 증가에 적기 대응했다. 직접 반도체 업체들과 구매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글로벌 완성차 업체 중 가장 빠르게 반도체 품귀 사태를 극복했다.

불확실한 경영 환경 속에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 혁신을 통해 미래를 개척해 온 현대차그룹의 DNA가 위기 극복의 핵심 무기였던 셈이다.

현대차그룹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아끼지 않고 있다. 모빌리티 연구 및 혁신 허브인 국내에 올해에만 역대 최대 규모인 24조3000억원을 투입해 차세대 제품 개발, 핵심 신기술 선점, 전동화 및 SDV 가속화 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주요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한 미국 시장에서는 현지 공급망을 확대하고 미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지난 5년간 비약적인 성장을 이룬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톱티어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글로벌 통상 리스크 관리, 전기차 수요 둔화 대응, 신사업 수익성 제고 등 핵심 현안에 대한 다양한 해법도 모색 중이다.

현대차그룹은 공급망 다각화, 탄력적 생산·판매 등 시장별로 최적화된 전략을 통해 미국의 관세 조치 등 각국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인해 재편되고 있는 세계 통상 질서에 대응하고 있다.

또 전기차 수요의 일시적 정체 대처를 위해 하이브리드 라인업 확대, EREV 및 수소전기차 지속 출시 등에 힘을 쏟고 있다. 전용 전기차의 앞선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역 특화 상품성을 갖춘 신형 전기차들을 유럽, 중국, 인도 시장에 순차적으로 선보이는 등 수요 회복 이후에 대비한 전략도 선제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과감한 투자와 연구를 통해 로보틱스, 수소,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목적기반차량(PBV),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 주요 신사업의 수익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다. 동시에 각 분야에 필요한 핵심 인재를 확보하고, 혁신 DNA를 조직 전반으로 확산시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