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메디허브, 장 섬유화 억제…신약 후보 물질 가능성 확인

  • 한의학硏·분당차병원, 한약 유래 장 섬유화 치료 가능성 제시

K-MEDI hub와 한국한의학연구원 분당차병원 연구진이 한약 유래 난치성 장 질환 치료제 후보물질의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국제학술지 ‘Life science’에 게재됐다 사진케이메디허브
K-MEDI hub와 한국한의학연구원, 분당차병원 연구진이 한약 유래 난치성 장 질환 치료제 후보물질의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국제학술지 ‘Life science’에 게재됐다. [사진=케이메디허브]

K-MEDI hub(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와 한국한의학연구원, 분당차병원 연구진은 한약 유래 난치성 장 질환 치료제 후보물질의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들 연구진은 장 섬유화(Intestinal fibrosis) 진행을 억제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이자 천연물 유래 성분 ‘Prim-O-glucosylcimifugin(POG)’의 기능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한국한의학연구원 기본 사업(KSN2224020)과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창의형 융합 연구 사업(CAP 23023-000)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이 주관하고 분당차병원 소화기내과가 환자 유래 장 근섬유아세포를 제공, K-MEDI hub와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구축한 장 섬유화 억제 후보물질 스크리닝 플랫폼을 활용해 물질의 효능을 검증했다.
 
이번 연구 결과 POG는 TGF β/MAPK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고, 세포외기질(ECM) 재구성을 억제함으로써 과도한 섬유화 반응을 완화하는 분자적 기전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POG는 섬유아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고, 콜라젠 침착을 감소 시켜 장 조직의 구조적 손상을 완화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이번 연구진은 결과를 국제학술지 ‘Life science’에 발표했고, 논문은 ‘Prim-O-glucosylcimifugin attenuates intestinal fibrosis by modulating TGF-β / MAPK signaling and ECM remodeling’을 제목으로 게재됐다.
 
연구를 통해 밝혀낸 성분은 한약 유래 천연물로서 만성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 염증성 장 질환의 장 협착 및 수술적 절제를 예방, 신약 후보 물질로의 발전 가능성이 높아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 확장과 글로벌 공동 연구 추진의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협력은 기존 동물 실험 중심의 접근을 넘어,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인 전임상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병원-연구 기관-학계 간 삼자 협력 모델의 사례로 긴밀한 협력을 통해 기전 분석 및 후보 물질의 분자적 효과 규명부터 환자 샘플 제공 및 임상데이터 연계, 플랫폼 구축 및 효능 검증까지 수행했다.
 
박구선 이사장은 “공동 연구를 통해 구축한 장 섬유화 억제 후보물질 스크리닝 플랫폼이 실제로 후보 물질 검증에 성공적으로 활용된 것은 큰 성과이다”며 “앞으로도 산·학·연·병 협력을 통해 전임상 및 임상 연구의 가교 구실을 충실히 수행하고,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앞장서겠다”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