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시가 재평가를 받기 시작한 시점에서 금융위원회는 이 모멘텀이 지속 가능하도록 우리 자본시장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과 경제 성장 지원에 총력을 다하겠다."
박민우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은 4일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아주경제 'ROAD TO 5000: 바이 코리아' 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박 증선위원은 "최근 우리 증시의 상승 랠리는 새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과 기업 실적 호조가 결합된 결과라는 평가가 많다"며 "외신에서도 그동안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으로 지목돼 왔던 주가 조작 등으로 인한 시장 불신, 낮은 주주 환원율과 불투명한 지배 구조의 문제가 해소될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직까지 주요국에 비해 낮은 밸류에이션 등을 감안할 때 우리 주식시장이 경기 순환에 따른 상승세가 아니라 구조적인 레벨업과 재평가의 초입에 들어왔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며 "이를 위해 공정투명한 시장질서 확립, 주주 가치 중심의 기업 경영 확산, 증시 수요 기반 확충 및 자금 선순환이라는 3대 축을 중심으로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박 증선위원은 상법 개정에 대한 의지도 드러냈다. 그는 "개정 상법의 안착을 지원해 나가는 한편, 자사주의 원칙적 소각, 제도화 방안 등 소액 주주들이 기업 성장의 과실을 공정하게 향유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지원해 나갈 것"이라며 "상장 기업 스스로가 중장기적인 기업 가치 제고 계획을 마련해서 투자자들과 적극 소통하는 문화를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증권형 토큰(STO)을 활용한 자금 공급 기능 확대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박 증선위원은 "혁신 중소벤처기업들이 보다 원활하게 모험 자본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STO 등 새로운 투자 기구를 도입하고 모험 자금 공급 기능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또 "우리 기업들의 수익성과 성장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 펀드를 통해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첨단 전략 산업에 주관한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 인증을 되살리겠다"며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경제 합리화와 규제 개선도 병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박 증선위원은 "우리 자본시장은 구조적 전환점에 서 있다"며 "탄탄한 시장 신뢰를 바탕으로 기업이 혁신 성장하고, 국민이 성과의 과실을 공유하며 재투자하는 선순환적인 자본 시장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짚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