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민해방군이 이른바 ‘더티 밤’(Dirty Bomb·방사능 오염탄) 모의 실험과 함께 인공강우와 유사한 방식의 방사성 물질 확산 억제 실험을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0일 인민해방군 산하 로켓부대 연구소와 공과대학 합동 물류지원부대 연구진이 공동으로 시험을 실시해 그 결과를 지난달 중국 학술지 ‘중국 안전 및 환경 저널’에 게재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구체적인 시험 장소와 시기는 공개되지 않았다.
더티 밤은 재래식 폭발물에 플루토늄·세슘 등 방사성 물질을 결합한 것으로, 인체에 치명적인 방사선을 폭발 지역에 광범위하고 오래 남겨 오염시키기 위한 목적의 폭탄이다. 이는 전통적 핵무기처럼 히로시마·나가사키급의 핵 연쇄반응이나 대규모 폭발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장기 오염과 공포·혼란을 노린 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우려된다. 아직 더티 밤이 사용된 전례는 없다.
이번 시험에 참가했던 공과대학 합동 물류 지원부대의 핵 비상사태 전문가인 린 위안예는 SCMP에 "현재 개발 중인 이동식 신속 배치형 공중 억제 시스템이 더티 밤 폭발 직후 생성된 연기구름을 고고도에서 신속하면서도 광범위하게 억제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연구진은 TNT 환산 62㎏급 폭발물에 무기급 플루토늄 1㎏을 결합한 더티 밤을 섭씨 25도, 풍속 초당 2m 미만의 흐린 날 저녁 도시 기반시설을 본뜬 단단한 콘크리트 표면에 투하해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진은 폭발과 동시에 고고도 풍선을 띄워 연기 기둥의 수직 높이를 측정했고, 추적 염료로 연무의 확산을 시각화했다. 수집된 영상과 관측 데이터는 고성능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정밀하게 분석됐다.
연구진은 시뮬레이션 결과 해당 더티 밤 하나로 약 10㎢의 방사능 오염 구역이 조성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응해 연구진은 인공강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특수 억제제를 실은 로켓을 발사해 억제제가 연무 속 방사성 입자에 달라붙도록 유도했고, 이들 입자가 빠르게 응집·낙하해 오염물질이 폭발 지점 인근에 머무르도록 하는 방법을 실험했다.
연구진은 이 대응 방식을 ‘고고도 신속 대응 억제’라고 명명하면서 "진압 효율이 50%를 넘으면 고위험 구역이 매우 좁아지고 90%에 도달하면 고위험 구역이 거의 없어지는 걸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다만 90% 수준의 진압 효율을 얻으려면 더티 밤 폭발 후 2분 이내에 대응 체계가 가동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그러면서 "조기 경보 시스템, 탐지 네트워크, 비상 대응 속도 역량이 바탕이 돼야 더티 밤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다"면서 "중국 내 주요 도시와 군사시설, 해안 지역에 집중된 원자력 발전소 등에 해당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CMP는 이번 연구가 더티 밤 시나리오에 한정돼 전형적 핵폭발 상황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지만 일종의 '핵 낙진 억제' 기술로서 의미는 있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