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 적체에…NH농협은행, 만 40~56세 대상 희망퇴직

  • 18~21일까지 접수…퇴직금 20~28개월치

  • 타 은행도 다음달 초부터 협상 시작

서울 중구 소재 NH농협은행 본점 전경 사진농협은행
서울 중구 소재 NH농협은행 본점 전경 [사진=농협은행]
NH농협은행이 희망퇴직 신청을 받으면서 은행권의 희망퇴직 시즌이 본격 시작됐다. 다른 은행들도 이르면 다음달 초부터 희망퇴직 조건 등을 두고 노사 협의에 들어갈 계획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농협은행은 18~21일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 

대상자는 전 직급 10년 이상 근무자 중 만 40~56세까지다. 특별퇴직금으로는 56세 직원에게 28개월치 임금을, 일반 직원에게는 20개월치 임금을 지급한다. 

농협은행은 2022년 최대 39개월치의 특별퇴직금을 지급하면서 퇴직자 수가 493명에 달했다. 그러나 이듬해 퇴직금을 28개월치로 축소하면서 퇴직자 수는 2023년 372명, 2024년 391명으로 줄었다. 

올해 희망퇴직 조건을 지난해와 같게 제시하면서 퇴직인원은 300~400명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도 희망퇴직을 받는 이유는 인력 적체 때문으로 풀이된다. 신규 채용을 늘려 디지털 전환 등을 위해 세대교체를 추진해야 하지만 1970년대 초반 인력 적체로 한계에 직면했다.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은행권의 연령별 비중은 20대가 11.2%인 반면 50대 이상은 22.7%로 2배다. 

또 정년연장이 장기화하면 판관비 비용 부담이 가중된다. 잇따른 당국 규제로 고정비용을 축소해야 하지만 임금피크제 인력이 늘려나면 적잖은 비용 부담으로 작용한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다른 시중은행들도 희망퇴직 접수를 앞두고 빠르면 다음달 초부터 노사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올해 연말이나 내년 초 인사 및 조직시즌에 맞춰 희망퇴직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