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자녀 한 명 고3까지 키우는 데 2억원"…정부 대책에도 부담 여전

  • 고1 양육비 가장 높아

  • 2009년 조사보다 의료·보육비는 감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일본에서 자녀 한 명을 고등학교 3학년까지 키우는 데 총 2억원 이상이 든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출생률 저하가 국가적 과제로 대두되는 상황 속에서 일본 가정의 양육 부담이 여전히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후생노동성 산하 국립성육(成育)의료센터는 2024년 11월 첫째 아이를 둔 여성 4166명을 대상으로 자녀 양육 관련 비용을 조사했다. 의류, 식사, 의료, 교육 등 각 항목별 연간 지출을 분석한 결과, 출생부터 고교 3학년까지 18년 동안 자녀 한명당 평균 2172만엔, 한화로 약 2억498만원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비용을 연령층별로 보면 미취학 자녀는 89만~110만엔(약 840만~1039만원), 초등학생 114만~131만엔(약 1076만~1237만원), 중학생 156만~191만엔(약 1473만~1803만원), 고등학생 181만~231만엔(약 1709만~2182만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교 1학년 시기의 양육비가 연 231만엔(약 2182만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가장 적게 드는 시기는 2세 전후로 89만엔(약 840만원)이었다.

이에 중학교 3학년까지 15년간 드는 누적 양육 비용은 총 1632만엔(약 1억5415만원)으로, 이는 내각부가 2009년에 발표한 같은 항목의 조사 결과보다 19만엔(약 179만원) 증가한 금액이다.

다만 세부 항목별로 살펴봤을 때 2009년의 조사 결과와 비교해 일반 생활비는 늘었지만 의료비와 보육비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보육비 지원 강화 정책이 효과를 거두고 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일본 정부는 출생률 하락에 대응하기 위해 보육료 무상화, 아동수당 확대, 저소득 가정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도입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양육비가 적지 않은 부담이 되고 있는 만큼 출산을 기피하게 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일본의 2024년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 수)은 1.15명으로 사상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전년의 1.20명보다 0.05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3년 연속 역대 최저치를 경신한 것이다.

일본 정부는 현재 '어린이 미래 전략' 등을 중심으로 저출생 대책을 강화하고 있지만, 일본의 전문가들은 양육비 절감과 더불어 일·육아 양립 환경 개선, 장시간 노동 개선 등 근본적인 사회 시스템 변화가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