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기아가 차세대 전동화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규모 배터리 개발 거점을 조성한다.
현대자동차·기아는 28일 경기도 안성시 제5일반산업단지 내에서 '미래 모빌리티 배터리 안성 캠퍼스 상량식' 행사를 열고, 배터리 연구개발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고 밝혔다.
상량식 행사는 지난 1월 착공 이후 진행 중인 공사의 안전한 시공을 기원하고, 미래 모빌리티 산업 발전과 지역 상생 의지를 다지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양희원 현대차·기아 R&D본부장 사장, 김동욱 전략기획실장 부사장, 김창환 전동화에너지솔루션담당 부사장 등 회사 관계자와 김동연 경기도지사, 윤종군 안성시 국회의원, 산업통상부 최우혁 첨단산업정책관, 김보라 안성시장, 김용진 경기주택도시공사 사장 등 정부·지자체 관계자가 참석했다.
현대차그룹이 1조2000억원을 투자해 조성하는 미래 모빌리티 배터리 안성 캠퍼스(이하 배터리 캠퍼스)는 부지 약 19만 7000㎡, 연면적 약 11만 1000㎡ 규모로 2026년 말 준공이 목표다.
배터리 캠퍼스는 차량 요구조건을 정밀하게 반영한 고난도 실증 환경에서 현대차·기아가 개발한 배터리 설계·공정 기술을 종합적으로 검증하는 그룹 최초의 대규모 배터리 특화 연구개발 거점이다.
최근 배터리가 모빌리티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전략 분야로 자리 잡으면서 차량 관점에서 요구 성능과 안전 기준을 정의하고, 실제 운행 조건을 반영해 배터리를 통합 개발·검증할 수 있는 역량은 중요해지고 있다.
배터리 캠퍼스는 전극-조립-활성화 등 셀 제조 전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첨단 설비를 갖추고, 배터리 혁신 기술의 적용 가능성과 품질, 안전성을 하나의 테스트베드 안에서 유기적으로 반복 검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셀 설계 기술 뿐 아니라 공정 기술 및 차량 시스템과 연계된 통합 제어 기술을 직접 확보하고, 소재-셀-모듈-팩-차량으로 이어지는 전 주기 관점에서 배터리 성능과 안전성을 종합 검증하는 연구개발 체계를 내재화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앞서 현대차·기아는 남양연구소와 의왕연구소 등에서 배터리 소재, 셀 설계 및 공정 기술에 대한 선행 연구를 진행해왔다. 기존 연구소가 셀·공정 기술의 초기 설계와 단위 공정에 대한 검증이라면, 배터리 캠퍼스는 실제 차량에 탑재할 수 있는 수준의 품질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고도화하는 역할을 맡는다.
나아가 연구개발 과정 전반에 데이터 해석 기술과 시험 자동화, 인공지능(AI) 기반 예측 모델을 적극 적용함, 배터리 안전성을 사전에 예측하는 디지털 검증 체계도 함께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차·기아는 배터리 캠퍼스에서 차세대 전동화 차량에 탑재될 고성능 리튬이온 배터리 셀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향후 시장과 기술 트렌드에 맞춰 연구개발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특히 로보틱스·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에 대한 기술 역량도 강화한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향후 5년간 국내에 125조2000억원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배터리 캠퍼스 구축은 울산 수소연료전지 공장, 화성 기아 PBV 전용 공장에 이은 세 번째 대규모 국내 투자 프로젝트다. 배터리 캠퍼스를 중심으로 'K-배터리' 생태계를 확장하는 동시에 핵심 인재 양성을 통해 국가 미래 경쟁력 제고에 힘을 보탠다는 목표다.
이날 행사에선 현대차·기아와 경기도, 안성시, 경기주택도시공사, 윤종군 국회의원 간의 업무협약(MOU)도 체결됐다. 각 기관은 배터리 캠퍼스를 지역 2차전지 산업 발전을 이끄는 차세대 배터리 허브로 육성하기로 협의했다.
양희원 현대차·기아 R&D본부장(사장)은 "배터리 캠퍼스는 국내 배터리 생태계를 유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산업 간 협업과 기술 고도화를 촉진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기업 경쟁력의 차원을 넘어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전동화 시장을 선도해 나가는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기아는 지난 8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와 전기차 배터리 안전 기술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배터리·품질·안전 기술 고도화를 위한 핵심 협업 과제를 공동 추진하는 등 K-배터리 생태계와의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