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이 탄탄한 기존 프랜차이즈의 성장과 글로벌 신작들의 연이은 흥행에 힘입어 주가 최고가를 경신, 시가총액 29조 1000억 원(3조 1천억 엔)을 돌파했다고 28일 밝혔다.
넥슨(일본법인)의 전일 종가는 3768엔으로, 지난 11일 3분기 실적발표 이후 3600~3700엔 대를 유지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2021년 4월 이후 약 4년 7개월 만에 기록한 최고 수준으로, 시장이 넥슨의 미래 성장 가능성에 강한 신뢰를 가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러한 기업 가치 상승의 핵심 동력으로는 이정헌 넥슨 대표이사가 내세운 ‘지식재산권(IP) 성장 전략’의 성공적인 안착이 꼽힌다.
이정헌 대표는 지난해 9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CMB 행사에서 기존 주요 IP를 확장하는 ‘종적 성장’과 신규 IP를 발굴하는 ‘횡적 성장’을 양대 축으로 삼아 2027년까지 매출 7,500억 엔을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다.
발표 1년여가 지난 현재, 넥슨은 이 목표가 허수가 아님을 실적으로 증명해내고 있다. 실제로 CMB 발표 직전(2024년 9월 2일, 종가 2889엔)과 비교하면 넥슨의 기업가치는 27일 종가 기준 약 30.4% 상승했다.
우선 ‘종적 성장’ 측면에서는 넥슨 특유의 라이브 운영 역량이 빛을 발하며 주력 프랜차이즈들이 긍정적인 성과를 냈다. 넥슨은 방대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고도화된 라이브 운영 역량을 통해 장기 서비스 중인 게임들의 매출을 오히려 증가시키는 저력을 보였다. 국내 ‘메이플스토리’는 이용자 친화적 업데이트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약 3배 성장했으며, ‘던전앤파이터’(PC)와 ‘FC’ 프랜차이즈 역시 견고한 성장세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글로벌 누적 판매 500만 장을 돌파한 인기작 ‘데이브 더 다이버’, 견고한 팬덤을 보유한 서브컬쳐 게임 ‘블루 아카이브’ 등이 넥슨의 포트폴리오에 힘을 보태며 넥슨의 기업 가치 상승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더불어 올해 출시된 신작들이 ‘횡적 성장’을 견인하며 넥슨의 체질 개선을 이끌었다는 평가다. 지난 3월 출시된 ‘마비노기 모바일’은 원작의 감성과 생활형 콘텐츠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장기 흥행 발판을 마련하며 ‘2025 대한민국 게임대상’ 대통령상(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같은 달 선보인 ‘퍼스트 버서커: 카잔’ 역시 정교하고 호쾌한 액션성과 완결성 있는 서사에 대한 호평을 받으며 ‘2025 대한민국 게임대상’에서 최우수상과 기술창작상을 수상해 작품성과 상업성을 동시에 인정받았다.
하반기에 출시한 신작들 역시 강력한 모멘텀을 만들어내고 있다. 지난 10월 30일 글로벌 시장에 선보인 엠바크 스튜디오의 ‘아크 레이더스’는 글로벌 누적 판매량 400만 장(11월 11일 기준)을 빠르게 돌파하며 전 세계 게임 시장에서 확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이는 출시 2주 만에 거둔 성과로, 출시 초기임을 감안하면 향후 판매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더해 11월 6일 출시한 모바일 방치형 RPG ‘메이플 키우기' 역시 초기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넥슨(일본법인) 이정헌 대표는 최근 3분기 실적발표를 통해 “IP 확장 전략에 따라 핵심 프랜차이즈와 신규 IP 모두의 성장에 가속도를 높일 계획”이라며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지속 가능한 수익을 창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단단히 다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