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NNA] 프로톤車, 40년 된 샤알람 공장 폐쇄 말레이시아 국민차 제조사 프로톤 홀딩스가 40년간 가동해 온 슬랑고르주 샤알람 공장을 폐쇄하고, 이곳 근무 인력 1,400명을 페락주 탄중말림 생산기지로 이전했다. 프로톤은 7일 이러한 인사 조치를 발표하며 생산 거점을 탄중말림으로 일원화한다고 밝혔다. 6일에는 탄중말림 공장에서 이전 직원들을 위한 환영식이 열렸다. 프로톤은 2003년 탄중말림에 새 공장을 설립했으며, 2017년 중국 자동차 기업 저장지리(浙江吉利)홀딩스그룹이 출자한 이후에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생산을 본격화했다. 지난달 초에는 전기차(EV) 2025-10-09 10:22 -
[NNA] 캄보디아 8월 보험료 수입 9% 증가…총 3,520만달러 캄보디아 보험감독국(IRC)은 올해 8월의 한 달간 보험업계 전체의 보험료 수입이 전년 동기 대비 9.2% 늘어난 3,520만 2,139달러(약 53억 엔)에 달했다고 6일 밝혔다. 보험료 수입을 부문별로 보면 생명보험이 4.2% 증가한 1,963만 607달러, 손해보험이 16.3% 늘어난 1,557만 1,531달러였다. 손해보험 내에서는 의료보험이 전체의 40.8%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부동산 관련이 26.6%, 자동차보험이 14.3%를 기록했다. 생명보험은 저축형이 73%를 차지했으며, 정기형은 15.8%로 그 뒤를 이었다. 보험금 지급 총액은 57.7% 늘어난 97 2025-10-09 10:02 -
[NNA] 印 스마트워치 시장, 5분기 연속 감소세 인도 스마트워치 시장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올해 2분기 인도 내 스마트워치 출하량(수입품 포함)은 전년 동기 대비 27% 줄어 5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시장의 주류를 이뤘던 3,000루피(약 5,000엔) 미만의 저가형 제품이 급감한 것이 전체 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분석됐다. 제조사별 점유율에서는 인도 토종 브랜드 '노이즈'가 5분기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지난달 2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2분기 브랜드별 점유율을 발표했다. 노이즈가 34%로 전년 동기보다 5%포인트 상승해 사상 2025-10-09 09:46 -
[NNA] 일본영화제 2025, 印尼 9개 도시에서 개최 일본 국제교류기금 자카르타 일본문화센터는 오는 11월부터 12월까지 인도네시아 9개 도시에서 '일본영화제 2025'를 개최한다고 6일 밝혔다. 올해는 처음으로 칼리만탄섬에서도 행사가 열리며, 개최 도시에 동칼리만탄주 발릭파판과 서수마트라주 파당이 새로 포함돼 역대 최다 규모로 진행된다. 자카르타에서는 11월 6일부터 9일까지 중앙 자카르타의 상업시설 '그랜드 인도네시아' 내 복합영화관 'CGV 시네마즈'에서 상영이 이뤄진다. 올해 상영작은 총 14편으로, 이 가운데에는 구로사와 아키라(黒澤 2025-10-09 09:26 -
[NNA] 비메디멕스, 주식 거래 일시 중단 위기 베트남 호찌민증권거래소(HOSE)가 제약회사 비메디멕스(VIMEDIMEX, 종목코드 VMD)의 주식 거래를 일시 중단했다. 회사가 2025년 상반기(1~6월) 감사보고서를 기한 내 제출하지 않아 경고를 받은 데 따른 것이다. VN익스프레스가 6일 보도했다. 비메디멕스는 현재까지 시정 조치나 개선 계획을 내놓지 않았다. HOSE는 회사가 계속해서 시정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주식 거래를 정식으로 중단하겠다고 경고했다. 비메디멕스는 지난 7월 말, 국가증권위원회(SSC)와 HOSE에 상반기 재무제표 제출 기한을 10월 28일까지 3개월 연장 2025-10-08 11:30 -
[NNA] 하카타 야리우동, 홍콩에 첫 해외 매장 오픈 일본 후쿠오카(福岡)의 우동 체인 '하카타(博多) 야리우동'이 오는 25일 홍콩에 첫 해외 매장을 연다. 서일본철도는 그룹사인 니시테쓰(西鉄)스토어가 운영하는 우동 전문점 '하카타 야리우동'의 해외 1호점을 홍콩에 오픈한다고 6일 발표했다. 매장은 주룽(九龍)지역 침사추이(尖沙咀)의 상업시설 '미라 플레이스(美麗華広場)'에 입점하며, 홍콩에서 외식사업을 운영하는 C. L. 그룹 쿠이진 컴퍼니(卡羅爾飲食集團)와 프랜차이즈 계약을 맺고 전개한다. 영업시간은 정오부터 다음날 오전 0시까지이며, 2025-10-08 11:17 -
[NNA] 훙하이, AI 서버로 월간 매출 신기록 달성 대만의 전자기기 위탁생산(EMS) 기업인 훙하이(鴻海) 정밀공업(폭스콘)이 9월에 최대의 월간 매출을 기록했다. 인공지능(AI) 서버 유닛 출하가 크게 늘면서 매출이 급증한 것이다. 훙하이가 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9월 연결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14.2% 증가한 8,370억 6,757만 대만달러(약 4조 1,120억 엔)로, 월간 기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증가세는 19개월 연속 이어졌다. 전월 대비로는 38.0% 증가했다. 미국 달러 기준으로는 전년 동월 대비 16.1%, 전월 대비 29.0% 각각 늘었다. 제품군별로 보면, 매출 증가를 견 2025-10-08 11:05 -
[NNA] 다이하쓰 인피니어스, 바이오연료 실증 성공 다이하쓰 계열의 선박용 엔진 제조업체 다이하쓰 인피니어스는 2일, 니혼유센(日本郵船)과 싱가포르의 해사 탈탄소화 비영리단체 ‘글로벌 해양 탈탄소화 센터(GCMD)’와 공동으로 추진한 ‘프로젝트 LOTUS’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실증을 통해 바이오연료의 장기 사용과 저장 과정에서 기술적 안전성이 확인됐다. 프로젝트 LOTUS는 약 6개월 동안 니혼유센의 자동차 운반선에 바이오연료를 지속적으로 사용해 엔진 성능과 연료 공급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 실험 결과 기술적 문제는 발견되지 않 2025-10-08 10:52 -
[NNA] 미쓰비시전기, 필리핀 LRT 1호선 에너지 절감 참여 미쓰비시전기(三菱電機)가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를 운행하는 경전철(LRT) 1호선의 에너지 효율화 사업에 참여한다. 자체 개발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해 철도 시스템의 전력 사용량을 분석하고, 환경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제안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일본국제협력기구(JICA)와 한큐전철이 추진하는 에너지 절감 기술 협력의 일환으로, 미쓰비시전기는 기술 지원 파트너로 참여한다. 업무는 지난 6월 말 시작됐으며 2026년 5월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LRT 1호선의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집해 디지털 분석 플랫폼 ‘세렌디(Sere 2025-10-08 09:25 -
[NNA] 에티하드항공, 아부다비-프놈펜 직항 노선 취항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를 거점으로 하는 에티하드항공이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인근 테초국제공항과 아부다비를 잇는 직항 노선 운항을 개시했다. 첫 항공편은 4일 오전 테초국제공항에 도착했다. 캄보디아 현지 매체 크메르 타임스 등이 보도했다. 에티하드항공의 아부다비-프놈펜 노선은 주 4회 운항된다. 아부다비 출발편은 월·수·금·일요일 오후 8시 45분(현지시간)에 출발해 다음날 오전 6시 55분 프놈펜에 도착하며, 프놈펜발은 오전 8시 40분경 출발한다. 소요시간은 약 7시간. 에티하드항공은 이번 2025-10-08 09:17 -
[NNA] JAL, 나리타-델리 신규 노선 취항 일본항공(JAL)이 내년 1월 17일부터 나리타-델리 노선을 신규 취항한다. 하루 1회 왕복, 주 7회 운항하며, 이로써 일본항공의 인도 노선은 기존 하네다-델리, 나리타-벵갈루루 노선을 포함해 총 3개로 늘어난다. 나리타-델리 노선의 항공권은 6일부터 판매가 개시됐으며, 운항 기종은 미국 보잉사의 787-8형 항공기다. 내년 2월 28일까지 운항 일정은 △나리타발 오후 8시 15분, 델리 도착 다음날 오전 3시 △델리발 오전 4시 35분, 나리타 도착 오후 3시 10분이며, 3월 1일 이후에는 △나리타발 오후 8시 35분, 델리 도착 다음날 오전 3 2025-10-08 09:01 -
[NNA] 한큐한신, 네오 소호몰을 센트럴파크몰2로 변경 일본의 한큐한신(阪急阪神)부동산이 인도네시아 자회사 소유의 상업시설 '네오 소호몰'의 명칭을 다음달 22일 '센트럴파크몰2'로 변경한다. 기존에 보유한 인접 시설 '센트럴파크몰'과 브랜드를 통합해 일체감을 강화하고, 두 몰 간의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한큐한신부동산은 2022년 9월 '센트럴파크몰'을, 2023년 9월 '네오 소호몰'을 각각 인수했다. 두 시설은 연결 데크와 지하 통로로 이어져 있으며, 합산 연면적은 약 25만㎡에 달한다. 이번 명칭 변경은 양 시설을 단일 2025-10-08 08:48 -
[NNA] 베트남, 부동산·금·카지노 소득세법 개정 추진 베트남 정부가 부동산 거래, 금(金) 거래, 카지노 상금에 대한 과세 기준을 포함한 소득세법 개정안을 마련했다. 재정부는 국회에 제출할 개정안의 주요 내용을 3일 공개했다. 정부 공식 사이트에 따르면, 이번 개정안에는 부동산 투기 억제를 위한 양도소득세 강화 방안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단기 매매 차익에 최고 20%의 소득세를 부과하는 조항은 최종안에서 제외됐다. 투자자들 사이에서 부동산 시장 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금 거래와 관련해서는 금괴를 거래할 때마다 거래액의 0.1% 2025-10-07 10:43 -
[NNA] 태국, 미얀마 난민에 합법 취업 기회 제공 태국 정부가 미얀마 난민에게 합법적인 취업 기회를 제공한다. 태국이 겪고 있는 노동력 부족 사태 해결을 위해 미얀마 국경 인근 난민캠프에 거주하는 미얀마 난민들에게 태국 내 근로를 허용한 것이다. 태국 노동부는 미얀마와의 국경지대에 위치한 난민캠프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한 합법 취업 허가 등록을 이달 1일부터 시작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제도는 인력난을 겪고 있는 태국 산업계의 요청에 따른 조치다. 등록 대상은 북부 메홍손, 북서부 딱, 서부 깐차나부리, 라차부리 등 4개 주에 걸친 9개 난민캠프에 거주하는 2025-10-07 10:35 -
[NNA] SIT 졸업생 초임 5% 상승, 회계학과 공학계열 주도 싱가포르공과대학(SIT) 졸업생의 2024년 기준 초임이 전년보다 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별로는 회계학과 공학계열의 상승폭이 두드러졌으며, 정보통신 관련 전공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싱가포르 교육부가 매년 실시하는 자치대학 졸업생 공동고용조사(JAUGES)에 따르면, SIT 2024학년도 졸업생의 초임(중앙값)은 월 4,200싱가포르달러(약 48만 엔)로, 2023년의 4,000싱가포르달러에서 5% 증가했다. 조사에는 2024년 졸업생 2,706명 중 2,113명이 참여했으며, 올해 조사는 3월 1일부터 5월 20일까지 진행됐다. 2025-10-07 10:26 -
[NNA] 중동 기업, 필리핀 대형 매립 프로젝트 참여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의 건설사 NMDC 그룹이 필리핀 마닐라만 매립 개발사업의 일부를 수주했다. 필리핀 내 대형 매립 프로젝트에 중동 기업이 참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NMDC그룹은 메트로 마닐라 파사이시의 매립개발사업을 추진하는 '파사이 하버시티(Pasay Harbor City, PHCC)'로부터 준설 및 매립 공사를 수주했다고 발표했다. 계약 금액은 6억 1,010만 달러(약 900억 엔)이며, 공사 기간은 30개월로 예정되어 있다. 파사이 하버시티는 파사이시가 점유권을 가진 마닐라만 연안 약 265헥타르 부지를 개 2025-10-07 10:16 -
[NNA] 메리어트, 조호르바루에 쉐라톤 호텔 개장 미국 호텔 체인 기업인 메리어트 인터내셔널이 말레이시아 조호르주 조호르바루에 '쉐라톤 조호르바루(Sheraton Johor Bahru)' 호텔을 개장했다. 이번 개장은 메리어트의 말레이시아 내 고급 숙박 브랜드 확장을 상징하는 사례로 평가된다. 메리어트는 조호르바루 시내에 위치한 쉐라톤 호텔의 영업을 공식 개시했다고 1일 밝혔다. 호텔은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를 잇는 국경교량 '코즈웨이(Causeway)' 인근에 자리잡고 있으며, 총 345개의 객실을 갖췄다. 시설로는 수영장과 레스토랑, 피트니스센터 외에도 최대 2025-10-07 10:06 -
[NNA] 교육과 고용 기회 잃은 미얀마 청년층 유엔개발계획(UNDP)이 미얀마의 젊은 세대가 교육과 고용 기회를 빼앗긴 '잊혀진 세대'로 전락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정치 불안과 경제 침체, 사회적 혼란 속에서 미얀마 청년층이 심각한 기회 박탈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다. UNDP는 2024년 미얀마 전역의 청년층(15~35세)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같이 밝혔다. 2일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층은 미얀마 전체 인구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지만, 교육과 고용의 기회를 잃은 채 사회로부터 고립되고 있다. 조사 결과, 청년 4명 중 1명(약 400만 명)은 일자리 2025-10-07 0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