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NA가 본 아시아

전체 뉴스

  • [NNA] 세계 최대 실내 스키장, 中 상하이에 내년 개장
    [NNA] 세계 최대 실내 스키장, 中 상하이에 내년 개장 사진=게티이미지 세계 최대 규모의 실내 스키장이 내년 상반기 중국 상하이(上海)시에 개장된다. 연간 300만명 이상이 이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에서는 지난해 2월 베이징(北京)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겨울 스포츠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하이의 자유무역시험구에 위치한 린강(臨港)신구에 건설되고 있다. 시설 연면적은 35만㎡이며, 이 중 실내 스키장은 약 9만㎡. 코스는 3개이며, 최상부에서 평지까지의 고도차이는 60m. 시설에는 워터 어트랙션도 병설된다. 객실 1000실의 호텔 및 쇼핑과 식사를 2023-12-26 10:24
  • [NNA] 류더인 TSMC 회장, 내년 주총 후 퇴임
    [NNA] 류더인 TSMC 회장, 내년 주총 후 퇴임 사진=TSMC 홈페이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제조) 세계 최대 기업 TSMC(台湾積体電路製造)는 류더인(劉徳音) 회장이 내년 주주총회 이후 퇴임한다고 19일 밝혔다. 후임에는 웨이저자(魏哲家) 최고경영책임자(CEO)를 추천한다. TSMC에 따르면 류 회장은 1993년 TSMC에 입사했다. 창업자인 모리스 창(장중머우, 張忠謀) 전 회장이 2018년 6월 퇴임 이후 후임 회장에 취임했다. 류 회장은 차기 이사회 선거에 참가하지 않는다. TSMC의 임원 지명 등을 수행하는 위원회는 후임 회장으로 웨이 CEO를 추천한다. 차기 이사회 선거 결과는 6 2023-12-22 18:37
  • [NNA] 日 머큐리아 홀딩스, OCBC은행과 펀드 설립
    [NNA] 日 머큐리아 홀딩스, OCBC은행과 펀드 설립 머큐리아 홀딩스는 크레딧펀드 신설을 위해 OCBC은행과 업무제휴 관계를 맺었다. (사진=머큐리아 홀딩스) 일본정책투자은행과 이토추(伊藤忠)상사가 출자한 투자펀드 머큐리아 홀딩스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의 지속가능성 분야에 특화된 크레딧펀드의 창설을 위해 싱가포르 금융사 OCBC은행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일본과 아세안 가맹국, 호주 등이 참가하는 탈탄소 협력체 ‘아시아 제로 에미션 공동체(AZEC)’의 정상회의 개최 계기에 협약이 체결됐다. 신설되는 펀드는 머큐리아 홀딩스가 일 2023-12-22 17:48
  • [NNA] 필리핀 글로브 텔레콤, 통신탑 매각 60% 완료
    [NNA] 필리핀 글로브 텔레콤, 통신탑 매각 60% 완료 사진=게티이미지 필리핀 통신사 글로브 텔레콤은 통신탑 운영사 유니티 디지털 인프라스트럭처에 통신탑 79기를 매각했다고 18일 밝혔다. 매각액은 9억 4800만 페소(약 24억 엔). 이번 매각으로 통신탑 매각계획의 약 60%가 완료됐다. 글로브 텔레콤은 지난해 보유하고 있는 통신탑 7506기를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매각 후 리스백 방식을 취해 고정비를 축소시키기 위한 조치다. 2022년에 2410기, 2023년에 2057기를 매각했다. 매각액은 574억 페소에 달한다. 내년에도 계획에 따라 매각은 계속 추진된다. 2023-12-22 17:02
  • [NNA] OCHA, 미얀마 1860만명 지원 필요… 자금조달에 난항
    [NNA] OCHA, 미얀마 1860만명 지원 필요… 자금조달에 난항 사진=게티이미지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 내년 미얀마에서 무력분쟁 격화와 피난민 급증으로 인구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1860만명이 지원을 필요로 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올해 예측보다 100만명 증가할 전망이나, 지원에 필요한 자금조달에는 난항을 겪고 있다. OCHA가 18일 발표한 보고서 ‘2024년 인도지원 수요와 대응계획’ 중 지원이 필요한 사람 중 긴급지원 대상은 530만명. 지원을 위해 9억 9400만 달러(약 1426억 엔)를 필요로 하고 있다. 내역은 ◇식량안전보장=2억 8900만 달러 ◇약자보호( 2023-12-22 16:11
  • [NNA] 삼양홀딩스, 美 화학소재 기업 버든트 인수
    [NNA] 삼양홀딩스, 美 화학소재 기업 버든트 인수 삼양홀딩스는 15일 버든트 스페셜티 솔루션즈의 지분 매매 계약 체결식을 가졌다. 삼양홀딩스 엄태웅 대표이사(왼쪽)와 버든트의 대주주인 오픈게이트 캐피탈의 마티아스 건들락(Matthias Gundlach) 매니징디렉터(MD). (사진=삼양홀딩스 홈페이지) 삼양그룹의 지주회사인 삼양홀딩스는 미국 화학소재 회사인 버든트 스페셜티 솔루션즈를 인수했다고 18일 밝혔다. 인수액은 3300억 원(약 362억 엔). 버든트 스페셜티 솔루션즈의 주력제품은 세제, 화장품용 계면활성제. 영국의 식품・가정용품 기업인 유니레버, 프랑스의 화장품 기 2023-12-22 15:08
  • [NNA] 미쓰비시전기 인도, 印 푸네 FA 공장 가동
    [NNA] 미쓰비시전기 인도, 印 푸네 FA 공장 가동 미쓰비시전기 인도가 최근 가동한 공장자동화 제어 시스템 제품의 신공장. =인도 서부 푸네 (사진=미쓰비시전기 제공) 미쓰비시(三菱)전기 인도는 서부 마하라슈트라주 푸네 탈레가온 공업단지의 공장자동화(FA) 제어 시스템 제품의 공장이 가동됐다고 발표했다. 토지와 건물, 생산설비를 포함한 투자액은 약 22억 루피(약 37억 7000만 엔). 수요확대에 대응해 제품을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조치다. 신공장은 약 4만㎡의 부지에 2층 건물로 세워졌다. 연면적은 약 1만 5400㎡. 인도의 공장자동화 시장은 식품・음료, 제약, 2023-12-22 14:23
  • [NNA] 印尼 자카르타 MRT 스나얀역 명명권, 마스터카드 취득
    [NNA] 印尼 자카르타 MRT 스나얀역 명명권, 마스터카드 취득 마스터카드는 MRT 스나얀역의 명명권을 취득했다. (사진=MRT 자카르타의 공식 인스타그램)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특별주의 도시고속철도(MRT)를 운행하는 MRT 자카르타는 미국의 신용카드 기업 마스터카드가 MRT 스나얀역의 명명권(naming rights)을 취득했다고 18일 밝혔다. 앞으로 스나얀역의 이름은 ‘스나얀 마스터카드’가 된다. MRT 자카르타와 마스터카드의 현지법인 마스터카드 인도네시아의 관계자가 이날 역명의 변경을 정식 발표했다. 명명기간은 5년. 연장도 가능하다. 기업이 MRT의 명명권을 취득 2023-12-22 13:48
  • [NNA] 베트남 내년 입법 계획, 부가세법 개정안 등 4개 법안 추가
    [NNA] 베트남 내년 입법 계획, 부가세법 개정안 등 4개 법안 추가 사진=게티이미지 베트남 정부는 국회에 대해, 2024년 입법계획에 ◇부가가치세법 개정안 ◇인신매매방지법 개정안 ◇화학물질법 개정안 ◇무기・폭발물 및 보조도구 관리법 개정안 등 4개 법안을 추가하도록 요청했다. 다우투가 18일 보도했다. 4개 법안의 추가를 검토한 국회 호안 타이 툰 법무위원장은 현행법의 부족함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각 법을 조기 개정하는 방안에 찬성의 뜻을 표명했다. 부가가치세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일부 비과세 품목을 세율 5% 또는 10%의 과세대상으로 하는 방향으로 검토되고 있다고 밝혔다. 2023-12-22 12:10
  • [NNA] 홍콩 9~11월 실업률 2.9%… 직전 조사와 같아
    [NNA] 홍콩 9~11월 실업률 2.9%… 직전 조사와 같아 사진=게티이미지 홍콩정부 통계처는 9~11월 실업률(속보치, 계절조정치)이 직전 조사 때와 같은 2.9%를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업종별 실업률은 주요 8업종 중 5업종이 직전 조사와 같은 수치였으며, 3업종이 개선됐다. 가장 개선된 ‘기타 업종’은 2.8%로 직전 조사보다 0.5%포인트 하락했다. ‘제조’(4.2%)는 0.3%포인트, ‘운수・창고・우정・택배서비스・정보・통신’(2.8%)는 0.2%포인트 각각 직전 조사보다 개선됐다. 직전 조사 때와 같은 수치를 나타낸 5업종은 실업률이 낮은 순으 2023-12-22 11:25
  • [NNA] 日 트리플라, 대만 자회사 설립… 동종업체도 인수
    [NNA] 日 트리플라, 대만 자회사 설립… 동종업체도 인수 사진=트리플라 홈페이지 일본의 여행업계 솔루션 기업 트리플라는 대만에 자회사를 설립하고, 대만의 동종업체인 쉬하이국제과기(旭海国際科技)의 주식 91.0%를 취득하기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트리플라는 100% 자회사를 타이베이(台北)에 설립한다. 현재는 대만 당국의 심사를 받고 있으며, 2024년 2월 이후 심사가 완료되는대로 설립을 추진한다. 자회사는 쉬하이국제과기가 전개하고 있는 서비스를 더욱 확대하는 한편, 쉬하이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위해 트리플라가 공급하는 예약 엔진 ‘tripla Book&rsqu 2023-12-21 18:32
  • [NNA] 셈코프, 암모니아 연료 일본에 공급
    [NNA] 셈코프, 암모니아 연료 일본에 공급 사진=게티이미지 싱가포르 공기업 셈코프 인더스트리즈는 인도에서 제조한 그린암모니아를 일본에 공급하기 위해 일본의 소지츠(双日), 규슈(九州)전력과 협업하기로 합의했다고 18일 밝혔다. 셈코프 인더스트리즈는 환경에너지를 개발, 제조하는 자회사 셈코프 그린 하이드로젠을 통해 일본의 2사와 컨소시엄을 결성한다. 최종투자결정과 컨소시엄을 통한 공급 결정에 따라 인도에 그린암모니아 연료제조시설 개발에 나선다. 셈코프는 시설개발사업을 주도하고, 소지츠와 규슈전력은 그린암모니아의 일본 수송 감독 및 일본 2023-12-21 17:47
  • [NNA] 미얀마군 총사령관, 제3탄린교 기념행사 참석
    [NNA] 미얀마군 총사령관, 제3탄린교 기념행사 참석 제3탄린교를 시찰하고 있는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총사령관(앞) =17일, 미얀마 양곤 (사진=미얀마군 홈페이지) 미얀마군 최고의사결정기관 ‘국가통치위원회(SAC)’의 의장을 맡고 있는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은 완공 직전인 제3탄린교에서 실시된 기념행사에 17일 참석했다. 최대도시 양곤 시내와 티라와 경제특구를 연결하는 바고강에 건립되는 교량으로, 건설은 일본의 정부개발원조(ODA)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은 교량의 볼트를 조이는 세레모니에 참가했다. 동 교량은 길이 약 2023-12-21 17:04
  • [NNA] LG이노텍, 무선 BMS 개발
    [NNA] LG이노텍, 무선 BMS 개발 LG이노텍이 개발한 무선 BMS (사진=LG이노텍 홈페이지) LG이노텍은 전동차의 무선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2024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 기술 전시회인 'CES 2024'에서 공개한다는 방침. 동시에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한다. BMS는 전동차의 필수부품으로 전압과 전류, 온도를 실시간 모니터링해 배터리 성능과 수명을 최적화하는 시스템. 유선 BMS를 무선으로 전환, 케이블이 없어져 차량 무게를 30~90kg 경감했다. 아울러 배터리팩을 탑재하는 공간이 10~15% 2023-12-21 16:25
  • [NNA] 印 인포시스, 나그푸르 개발거점 개설
    [NNA] 印 인포시스, 나그푸르 개발거점 개설 인포시스가 나그푸르에 개설한 개발센터. (사진=인포시스 페이스북) 인도의 IT 서비스 기업 인포시스는 서부 마하라슈트라주 나그푸르에 새로운 개발센터(DC)를 개설했다고 16일 밝혔다. 투자액은 약 23억 루피(약 39억 엔). 나그푸르의 미한경제특구에 설치된다. 부지면적은 26만 5000ft²(약 2만 4600m²)에 달하며, 3000명 이상의 종업원을 수용할 수 있다. 재택근무와 출근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모드’ 등 다양한 근로형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설로 구축됐다고 한다. 아울러 동 DC는 친환경 2023-12-21 15:56
  • [NNA] JOGMEC, 印尼 페르타미나와 메탄 배출량 측정
    [NNA] JOGMEC, 印尼 페르타미나와 메탄 배출량 측정 협정을 체결한 페르타미나와 JOGMEC의 관계자 =16일 (사진=JOGMEC 제공) 일본에너지금속광물자원기구(JOGMEC)는 인도네시아 국영석유회사 페르타미나와 천연가스 생산시설의 메탄 배출량 측정 및 정량화에 관한 협력 추진을 위한 협정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에너지 부문의 메탄 배출 삭감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한다. 일본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가맹국 정상들의 특별정상회의 계기에 16일 도쿄에서 개최된 ‘일-아세안 경제공동창조포럼’에서 협정을 정식으로 체결했다. 인도네시아 중술라웨시주에 2023-12-21 15:23
  • [NNA] 홍콩 내년도 정부예산, 지출억제는 불가피
    [NNA] 홍콩 내년도 정부예산, "지출억제는 불가피" 사진=게티이미지 홍콩정부의 폴 찬(陳茂波) 재정장관은 17일 갱신한 공식 블로그를 통해, 2024/25년도(2024년 4월~2025년 3월) 정부 예산안과 관련해, “지출 억제는 불가피하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재정장관은 최근 수년간 세출확대로 인한 재정악화에 대해 언급하면서도,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원과 미래에 대한 투자는 필수적”이라고 지적, 경제성장을 가속화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재정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재정장관은 이달 초 입법회(의회) 재경사무위원회 2023-12-21 14:23
  • [NNA] 中 강재수요, 2024년 회복기조 전망
    [NNA] 中 강재수요, 2024년 회복기조 전망 사진=게티이미지 중국의 철강수요가 내년에 반등할 전망이다. 자원 및 철강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쉬샹춘(徐向春) 상하이강련전자상무(上海鋼聯電子商務) 최고정보책임자는 2024년의 강재수요가 전년 대비 2%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건설용 강재 시황이 바닥을 찍고, 제조업 수요도 증가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시각을 나타냈다. 중국의 철강업계 조사회사 마이스틸(我的鋼鉄網)은 지난 14~17일 연차회의를 개최해 강재시장 전문가들이 업계 전망에 대해 각자의 시각을 밝혔다. 부동산 시장 침체로 올 1~10월 건설용 강재의 2023-12-21 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