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중공업 풍력발전사업팀 엔지니어들이 풍력발전설비의 핵심부분인 너셀(엔진실)에 대한 최종 종합성능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다. |
삼성중공업이 대한민국 풍력발전설비 1호기 수출업체로 등극하며, 본격적인 미국·유럽 풍력발전시장 공략에 나섰다.
삼성중공업은 19일 거제조선소에서 제작한 2.5MW급 풍력발전설비 1호기를 미국 씨엘오(Cielo)로 인도함으로써 '국내 풍력발전 설비업계 최초의 해외수출'을 기록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인도한 설비는 직경 90m의 블레이드(날개부분), 기둥인 80m의 타워, 엔진실 등 총중량 300t에 달하는 세계최대급 육상용 풍력발전기로 2.5MW급 1기는 약 940여 가구가 사용가능한 전력을 생산할 정도의 대형 풍력발전설비다. 1기당 250만 달러.
내년 1월 미국 텍사스주 러벅(Lubbock) 지역에 설치돼 4월부터 본격 가동하게 되며, 텍사스 주립대학 등에 향후 20년 이상 전력을 공급한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5월 씨엘오로부터 풍력발전설비 3기를 수주한 이후, 국내업체로는 처음으로 풍력발전설비를 수출하겠다는 목표 아래 조립작업장 완비, 전력발생시험 등 각종 성능테스트에 매진해 설계용량인 2.5MW에 부합되는 제품을 완성시켰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업착수 1년여 만에 제품개발 및 풍력발전분야 최대시장인 미국진출까지 일거에 성사시킴으로써 사업성공 가능성을 입증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삼성중공업은 이런 자신감을 바탕으로 국내업계 최초로 지난 5월 미국 휴스턴 풍력발전설비 영업지점 개설에 이어 2010년 포틀랜드 지점, 2011년 독일지점을 각각 개설할 계획이이다.
또한 2011년에는 물류 및 A/S센터도 가동해 풍력발전 최대시장인 미국과 유럽을 본격적으로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미국은 현재 전체전력의 1% 수준인 풍력발전을 오는 2030년까지 20% 이상으로 확대해 친환경 에너지 확보 및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투자액 무상지원제도, 세금공제 제도 등을 시행되고 있는 미국 풍력발전시장은 급속히 커지고 있다.
실제로 미국은 신재생 에너지 사업에 향후 10년간 1500억 달러, 영국은 17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세계 풍력발전시장 규모는 2015년께 900억 달러에 달해 세계 조선시장에 버금가는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삼성중공업은 조선부문에서 확보한 세계 1위의 선박건조 기술력을 활용, 업계최초로‘풍력발전설비 전용운반선’ 개발에 이미 착수했다. 풍력에너지 추진선박, 부유식 풍력발전단지 등에 대한 사업도 검토하고 있다.
김징완 삼성중공업 부회장은 "조만간 남동발전이 주관하고 있는 '영흥 국산풍력 상용화단지' 조성사업에도 참여할 계획"이라며 "그동안 조선과 건설 분야에서 쌓은 연관기술을 활용해 미국 및 유럽의 상위 6개사가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풍력시장에서 선두업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씨엘오는 텍사스주에서 풍력발전단지 개발 및 운용을 담당하는 전문업체로, 1호기가 설치되는 동일 지역에 향후 20기의 풍력발전설비를 추가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삼성중공업은 씨엘오로부터 추가수주도 내심 기대하는 눈치다.
아주경제= 김병용 기자 ironman17@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