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재정 위기, 그리스 다음으로 주목할 곳은 일본이다."
그는 시라카와 마사키 일본은행(BOJ) 총재가 지난주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에게 막대한 공공부채의 위험성을 경고한 데 주목했다.
페섹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가 지난주 재할인율을 전격 인상하면서 글로벌 국채 금리 상승을 자극한 것도 우려를 증폭시켰다고 지적했다. 이자 부담이 그만큼 늘기 때문이다.
물론 일본은 유로존(유로화 사용 16개국)에 속한 그리스와는 사정이 다르다. 자체적으로 통화를 찍어내고 통화정책을 통제할 수 있다. 또 경상흑자와 15조 달러에 달하는 가계저축을 배경으로 전체 발행 국채의 90% 이상이 국내에 두고 있다. 자본 이탈 위험이 상대적으로 작다.
페섹은 그러나 심각한 디플레이션과 인구 고령화, 기업 부실화는 향후 일본 경제에 커다란 위험요소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우선 국내총생산(GDP) 디플레이터는 갈수록 하락하고 있다. GDP 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으로 물가 변동을 보여주는 지표다.
지난해 4분기 일본의 GDP 디플레이터는 1년 전에 비해 3.0% 하락했다. 하락폭으로는 통계가 처음 작성된 1955년 이후 가장 컸다. 물가 하락세는 올해도 지속될 전망이어서 가계 소비는 더 위축될 전망이다.
도요타와 일본항공(JAL) 등 대표기업에서 불거진 악재도 위협요소다. 인구 고령화로 일본 경제의 역동성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는 사이 드러난 악재는 국제 신용평가사들을 자극하고 있다. 스탠더드앤푸어스(S&P)는 지난달 현재 'AA'로 떨어진 일본의 국가신용등급을 더 낮출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페섹은 일본 정부가 마땅한 대책 없이 오는 4월 시작되는 새 회계연도에 기록적인 국채 발행을 계획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일본 정부가 그리스처럼 골드만삭스와 같은 투자은행을 끌어들여 공공부채 규모에 대한 '분식'에 나서지 않겠느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 국채 금리도 이같은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일본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현재 1.32%로, 미국(3.77%)과 영국(4.17%)에 비해서는 크게 낮은 수준이다. 페섹은 그러나 일본의 공공부채 규모가 GDP의 두 배나 되는 만큼 금리의 미세한 움직임도 시장에 상당한 충격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아주경제= 김신회 기자 raskol@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