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외이사 수와 경영효율성과는 상관관계가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8일 '경영효율성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기업집단의 내부통제구조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사외이사들의 평균 근속연수도 경영효율성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일부에서는 사외이사의 근속연수가 늘어날수록 이사회를 견제·감사할 수 있는 능력이 감퇴되므로 이를 일정기한 이내로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분석결과 그러한 주장은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또 대기업의 사외이사 비율이 높아진 이유에 대해 "자산규모 2조원 이상인 상장회사는 사외이사를 이사회 구성원의 과반수로 선임하도록 규정한 제도에 따른 것이었을 뿐"이라면서 "이러한 사외이사의 비율 증가가 자산효율성과 지출효율성을 높이는 데 역할을 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대규모 기업집단 지배주주의 소유지배구조도 경영효율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한경연은 경영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생산물시장과 자본시장에서의 경쟁을 꼽았다.
한경연은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도를 나타내는 수출비중이 높은 기업일수록 자산효율성이 높았으며 지출효율성은 외국인지분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아주경제 진현탁 기자 htji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