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정해림 기자) 하반기에는 중국의 긴축정책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면서 대중국 수출이 많은 우리나라 기업들의 주가도 '중국 리스크'에서 한층 자유로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1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부동산 규제정책을 필두로 한 중국의 긴축정책은 상반기 내내 중국 증시를 불안하게 했다. 지급준비율 인상과 유럽발 재정위기까지 겹쳐 연초 3200포인트를 상회하던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최근 2500선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하반기에는 정책에 변화가 올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중국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는 53.9로 4월보다 1.8포인트 하락했다. 그러나 15개월 연속 50포인트 이상의 견고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부동산 가격 상승세도 진정되고 소비도 늘어나는 추세다.
오재열 IBK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광주와 선전 등 중국 부동산 시장을 선행하고 있는 지역의 가격 상승세가 이미 꺾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지난달 부동산 가격 상승률이 전달보다 둔화됐다"며 "올해 1분기 도시와 농촌가구 1인당 소비가 전년 동기보다 각각 11.0%와 10.0% 늘어나 두 자리수로 회복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내수 기업을 중심으로 중국에 진출해 있는 국내 기업들도 따라서 호전될 것으로 보인다. 성연주 대신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중국내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중국에 진출한 내수 중심 국내 대기업들과 자동차ㆍ정보기술(IT) 기업들의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3분기에는 조정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성 연구원은 "5월 3.1%를 기록한 소비자물가지수(CPI)가 3분기에는 고점을 찍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CPI 오름세에 따른 금리 인상 우려가 있다"며 "부동산 규제정책도 4분기부터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보여 그 전에는 조정국면이 지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상일 이트레이드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증시는 중국에 기대를 나타내고 있지만 막상 중국 증시는 부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며 "불확실한 해외 여건 등을 감안할 때 중국이 단기간 내에 강한 긴축을 하긴 어렵겠지만 긴축 부담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중국 모멘텀이 글로벌 증시에 주는 긍정 효과는 당분간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했다.
12xworld@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