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경전철 건설 '수난의 계절'

  • 서울, 우이동~방학역 외 6개 노선 착공 못해 의정부 경전철은 공정 70%서 중단할 위기

   
 
수도권 경전철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의정부 경전철 사업(사진 왼쪽)은 공정률 70%에서 공사 중단 위기에 처했으며 용인경전철(오른쪽)은 수요 예측과 운임 보장 문제를 놓고 용인시와 민간사업자가 첨예하게 대립 중이다.

(아주경제 유희석 기자) 수도권 경전철 건설 사업이 홍역을 앓고 있다. 민자사업자를 구하지 못해 사업이 계속 미뤄지거나 노선 변경, 요금 책정 등 갖가지 문제에 대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지난 2일 열린 지방선거에서 기초단체장이 바뀐 일부 지역에서는 경전철 사업의 전면 재검토 얘기가 나오는 등 험난한 앞길을 예고하고 있다.

21일 서울시 및 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2008년 수립된 '서울시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에 따라 추진 중인 7개 경전철 노선 중 2곳이 민간 사업자를 구하지 못해 난항을 겪고 있다.

당초 서울시는 약 5조2300억원의 예산을 들여 오는 2017년까지 △동북선 △면목선 △서부선 △DMC선 △목동선 △신림선 △우이~신설 연장선의 경전철을 건설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중 지난 2005년 이미 도시철도계획이 확정됐던 우이~신설 연장선(우이동~방학역)을 제외하고는 공사를 시작한 구간이 아직 한 곳도 없다.

나머지 구간에서는 영등포구 여의도와 관악구 서울대를 연결하는 신림선만 고려개발을 주간사로 하는 컨소시엄을 우선협상자로 선정하고 협의를 진행 중일 뿐이다.

특히 목동선(양천구 신월동~영등포구 당산역)과 DMC선(마포구 DMC지구 순환)은 경기 침체 등으로 민간 사업제안자도 구하지 못해 개통 시기가 많이 미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최근 기획재정부가 경전철 민자 사업에 대한 지원기준을 완화하고 경기가 회복되고 있는 등 상황이 좋아지고 있다"며 "시는 (경전철 사업의) 민자 추진이 어렵다면 다른 방법을 찾아서라도 사업 추진에 문제가 없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지역의 경전철 사업은 상황이 더 심각하다. 지난 2일 끝난 지방선거에서 기초단체장이 대거 교체되며 사업 추진 자체가 불투명해진 곳이 나타나고 있다.

내년 8월 개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의정부경전철 사업은 공사가 70% 가까이 진행됐지만 지난 지방선거에서 새로운 시장에 민주당 안병용 후보가 당선되면서 돌연 중단위기에 몰렸다.

안 당선인이 잘못된 수요예측과 노선 선정 등을 이유로 의정부경전철 사업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사업 주간사인 GS건설은 공사 중단으로 인한 막대한 손해(하루 약 3억원 추정)를 주장하며 공사 포기 의사까지 밝히고 있다. 양측의 대립이 계속됨에 따라 사업 추진 일정은 안개 속에 가려지게 됐다.

이밖에 용인과 김포, 수원 등에서 추진 중인 경전철 사업도 난항을 겪고 있다. 용인 경전철은 용인시와 민간사업자가 수요 예측 결과와 최소운영수입보장(MRG) 수준을 놓고 줄다리기를 하고 있어 개통이 미뤄지고 있다. 또 김포에서는 경전철 사업 자체를 무산시키고 대신 지하철 9호선을 연장하는 방안이 추진 되고 있다. 

xixilif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