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최근 미국 지방 정부의 재정적자는 계속 늘어가고 있다. 미국 주정부연합회(NCSL)는 지난 1일 시작한 주 정부 2011 회계연도에 대해 캘리포니아 199억 달러, 일리노이 130억 달러, 뉴저지 107억 달러, 뉴욕 82억 달러 등 적자규모가 89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미 지방정부가 제 2의 PIIGS(포르투갈ㆍ아일랜드ㆍ이탈리아ㆍ그리스ㆍ스페인) 사태로 확산될 것이란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미국 주요 주정부 CDS 프리미엄은 금융위기가 이후인 지난 2008년 11월 수준까지 올라섰다.
현재 일리노이 주정부 CDS 프리미엄은 361.4 베이시스포인트(bp)이며 캘리포니아(344.2bp), 미시간(286.2bp), 뉴욕(276.8bp) 순이다. 포르투갈(279.27bp), 아일랜드(241.28bp), 스페인(230.96bp)과 비교해 별 차이가 없다.
이 탓에 10년 물 기준 국채 대비 지방채의 금리 스프레드는 최근 1%(100bp)를 상회, 지난 2009년 5월 이후 최고 수준으로 벌어졌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번 미국 지방채 위기를 금융시장의 위기로 확대 해석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지적했다.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지방채는 미국 전체 채권 유통잔액의 8%로 과거 금융위기를 불러온 모기지 26%에 비해 극히 미미하고 PIIGS 5개국 총 외채규모인 8.6조 달러 수준에도 크게 못미친다"며 "게다가 대부분 고정금리로 발해돼 문제의 소지가 적다"고 설명했다.
은행 보유비중이 낮다는 것 역시 확대해석을 막는 근거다. 미국 은행권 전체 핵심자본(Tier 1 자본) 대비 지방채 보유 비중은 9.1%로 개인(36%)과 뮤추얼펀드(33.8%)에 비해 미미해 손실에 따른 전염효과가 적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또 만약 미국 주 정부들의 재정위기가 심각해지더라도 남유럽과는 차별적일 것이라고 봤다.
임수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연방제라고 해도 지방정부가 위기에 몰리면 정부가 나설 수 밖에 없다는 점이 유럽과 가장 큰 차이"라며 "게다가 남유럽의 경우엔 유로화 가치 폭락하면서 대응수단이 없어졌지만 미국은 돈을 찍어서 지방채 금리를 낮춰주는 방법까지 고려할 수 있다"고 전했다.
adoniu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