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중국 중산층 7억명...한국 기업 내수공략 강화

(아주경제 강소영 기자) 2020년이 되면 중국 중산층이 전 인구의 절반에 육박하는 7억 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의 대중 사업 전략에도 적절한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제시장조사기관인 영국의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이 최근 보고서를 통해 2020년 중국 중산층이 7억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고 중국 법제만보(法製晩報)가 19일 보도했다.

이 보고서는 10년 후 중국에 연수입 8만~12만 위안(약 1400만원~2100만원) 수준의 중산층이 전체 인구의 48%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봤다. 
 
법제만보는 "현재 전체인구의 24% 수준에 그치는 중국의 중산층 비율이 점차 늘어날 것"이라는 드와이트 퍼킨스(Dwight H. Perkins) 하버드대 경제연구소 주임의 말을 인용해 유로모니터 보고서의 견해에 힘을 실어줬다.

최근 중국의 여러 매체는 중산층 증가 추이와 시민의 중산층 의식 조사 등을 실시하며 ‘중산층 확대’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중국 중산층의 증가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소득배증계획(收入倍增計劃)' 및 소득재분배 정책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어 중국 언론은 물론 한국 경제계도 이를 예의주시 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소득배증정책을 통해 내년부터 연간 15% 임금을 인상해 5년 안에 현재보다 국민 소득을 2배이상 증가시킨다는 계획이다. 또한 올해 하반기 새로운 임금조례 등 소득분배 개혁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소득배증정책은 중국 경제의 내수기반형 성장으로의 전환과 빈부격차 해소라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중국은 국민의 소득을 늘려 소비를 늘리고, 중산층을 늘려 사회 양극화 현상도 완화하겠다는 계획이다.

무역협회 정환우 박사는 “단기적으로 보면 소득배증정책이 야기할 중국 노동자 임금상승이 우리 제조기업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겠지만, 우리 기업이 잘 활용하면 장기적으로 이득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정 박사는 중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하고 있는 중소규모의 가공무역 기업은 핵심인력만 보유하고 나머지 부분은 현지 아웃소싱을 적극 활용하라고 조언했다.

임금인상으로 인해 중국이 더 이상 염가 노동력의 생산기지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고 있고, 중국 정부정책도 갈수록 가공무역업체에 호의적이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중소규모의 가공무역업체는 몸집을 최대한 줄이고 중국 내수시장을 공략하는 사업구조 전환을 단행해야 할 마지막 시기가 도래했다고 정 박사는 지적했다.

내수시장 진출 전략을 펴왔던 대기업의 경우 중국 중산층 증가와 내수부양 정책은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때문에 대기업은 중국 내수 시장 점유율 확대에 더욱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다고 정 박사는 강조했다. 

haojizh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