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영민 기자) 통신사들이 유동인구가 많은 대도시 중심으로 와이파이(Wi-Fi) 등 무선랜을 구축함에 따라 지역간 편차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방송통신위원회가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이경재 의원(한나라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총 3만7633개의 무선랜 접속지점 중 서울이 전체의 26%를 차지했으며, 인천 3.4%, 울산 1.6% 등 지방으로 갈수록 현저히 떨어지고 지역간 편차가 최대 16배까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은 "광역시도간 무선랜 구축의 불균형도 심각하지만 군읍면 등 농어촌지역으로 들어가면 대부분의 지역이 전체의 1%에도 못 미친다"고 지적하고 지역편차 해소를 위해서 이동통신 3사의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또 "대도시 중심의 이용자들이 누리는 무료혜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통사들의 수익감소분을 지방 및 농어촌지역의 이용자들이 일부 감당하게 되는 비이상적인 비용전가도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방 및 농어촌지역에서도 유동인구가 많은 관공서, 문화회관 등에 우선적으로 무선랜 구축을 추진해야 하며 동시에 정부의 농어촌 광대역 가입자망 구축 사업과 연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mosteve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