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재호 기자) 은행권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건전성 강화에 나섰다. 1년 내 정상화 가능성이 없는 PF 사업장에 대한 대출은 '고정이하여신'으로 분류해 3분기 말부터 충당금을 쌓을 방침이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PF 리스크 관리 모범규준'에 사업장에 대한 평가 및 건전성 분류 기준을 포함시키고 3분기 결산일인 이날부터 적용키로 했다.
그 동안 은행업감독규정 등을 토대로 내부기준에 따라 PF 건전성을 분류했지만, 앞으로는 강화된 기준을 적용해 미래 부실 충격에 대비할 계획이다.
은행들은 모범규준에 따라 연체기간과 채무상환 능력, 부도 여부 등을 고려해 각 PF 사업장을 △양호 △보통 △악화 우려 등 3단계로 나누기로 했다. 악화 우려 사업장은 고정이하여신으로 분류된다.
양호 사업장은 연체 실적이 없으면서 분양률 60% 이상, 최대 예상 손실이 원리금의 10% 이내, 대출기간 1년 미만 등이 해당된다.
악화 우려 사업장은 △보증사고 발생 △사업일정이 당초보다 2년 이상 지연 △1년 내 정상화 가능성이 없는 곳 △신용위험평가 결과 C등급 이하의 평가를 받은 건설사가 시공사로 보증한 곳 등이다.
다만 1년 내 정상화 가능성이 없는 사업장이라도 신용등급이 A등급 이상인 건설사가 시공한 곳은 정상 사업장으로 간주하기로 했다.
또 C등급 이하 건설사가 시공했더라도 우량한 기관이 보증을 했거나 컨소시엄 형태로 시공이 이뤄진 곳들도 정상 사업장으로 분류된다.
개별 은행들은 이날부터 새 규준을 적용해 건전성 평가에 나선다. 은행권에서는 5000억원 내외의 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해야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농협의 경우 부실 PF 규모가 1조원 이상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농협 측은 C등급 건설사가 시공한 사업장에 대해 요주의 여신으로 분류하고 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했기 때문에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사업장별로 건전성을 재평가하는 작업이 끝나야 추가 부실채권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며 "상당수 사업장이 요주의 여신으로 분류돼 있어 은행권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국민은행 등 4개 은행은 민간 배드뱅크인 연합자산관리(유암코)에 부실 PF 채권 매입을 요청했다.
유암코 측은 다음주부터 한 달간 실사를 진행한 후 최대 1조원 규모의 부실 PF 채권 매입에 나설 계획이다.
gggtttppp@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