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 학계인사 26인은 22일 올해 100년을 맞는 강제병합의 성격과 관련, "일본은 무력을 바탕으로 한국인들의 반대를 억누르고 한국병합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한.일 신시대 공동연구' 위원장인 하영선 서울대 교수와 오코노기 마사오(小比 木政夫) 일본 게이오대 교수는 이날 오후 외교통상부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한.일 신시대 보고서를 공식 발표했다.
일본 간 나오토(菅直人) 총리가 지난 8월 담화에서 '한국인들의 뜻에 반하여 이뤄진 식민지 지배'라고 밝힌데 이어 일본 학계가 '무력'을 동원해 한국을 병합했다고 시인함에 따라 병합의 강제성이 일본측에 의해 명확히 인정된 것으로 평가된다.
보고서는 "식민화 과정 및 이후의 식민지 지배가 가져온 수많은 손해와 고통 및 민족적 한이 1945년 이후에도 장기간에 걸쳐 한.일관계 정상화를 방해하는 커다란 요인중 하나가 되고 있다"며 "이 같은 역사의 사실을 직시해 결코 잊어버리는 일이 없도록 기억에 새기면서 함께 새로운 미래를 개척하는 일이야말로 앞으로 한.일 양국이 나아가야할 길"이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그러나 과거사 논란의 핵심인 불법성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보고서는 이어 한.일관계의 미래 비전으로 '한.일공생을 위한 복합 네트워크 구축'을 제시하고 "한.일 양국의 정부, 지방자치단체, 교육기관, 기업, NGO(비정부기구) 등 다양한 행위자가 정치, 안보, 경제, 문화, 지식정보, 과학기술, 환경생태 등 모든 영역에 있어 긴밀한 공조와 협력의 네트워크를 전면적으로 구축해 동아시아 및 세계의 평화와 공영을 도모하는게 한.일관계의 미래상"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