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광효 기자) 내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주요 20개국(G20) 국가들 중 네번째로 높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일 기획재정부와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등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은 경주 G20 재무장관ㆍ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제출한 내부 보고서에서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전년 대비 4.5%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중국(9.6%), 인도(8.4%), 인도네시아(6.2%)에 이어 네번째로 높은 수치다.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가 G20에서 신흥국으로, 한국이 선진국으로 분류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은 G20 내 선진국들 중 내년에 가장 높은 경제성장률을 달성하는 것이 된다.
러시아(4.3%)와 브라질, 아르헨티나도 각각 4.0% 성장률로 내년에 4%대의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유럽연합(1.7%), 일본(1.5%), 이탈리아(1.0%)는 1%대의 낮은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됐다.
G20 회원국의 내년 평균 경제성장률은 4.4%로 전망됐다.
올해 성장률 전망에서는 한국이 6.1%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중국(10.5%), 인도(9.7%), 터키(7.8%), 아르헨티나ㆍ브라질(7.5%) 등에 이어 7번째로 높은 수치다.
미국은 올해 2.6%, 2011년에는 2.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IMF는 "세계 경제는 고정투자 증가에 따른 제조업 성장과 무역부문의 확대에 따라 2010년 상반기 중에도 회복세를 지속했다"며 "세계 경제의 회복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등 하방 리스크가 여전히 상존한다"고 말했다.
IMF는 "선진국은 기업의 투자 증가가 고용확대로 연결되지 않아 가계소득 감소와 이에 따른 소비 감소를 초래하고 있다"며 "신흥국은 기업 투자가 고용창출로 연결돼 가계소비가 활발하게 이뤄지며 빠른 경기회복세를 시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leekhyo@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