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사태 발생 직후 외교안보 관련 참모들로부터 북한의 포격 사실을 보고 받았으며, 긴급 관련 비서관회의를 소집했다. 이 대통령은 곧바로 청와대 내의 지하벙커에서 안보관계장관회의를 소집해 참모들과 대책을 숙의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확전되지 않도록 관리를 잘하고 부상자에 대한 치료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
북한은 지금까지 서해 연평도 해상에 100여발 이상의 해안포를 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군은 이에 대해 북한에 대응사격을 실시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김희정 대변인은 이와 관련, 우리 해군이 백령도 근해서 진행중인 '호국훈련'에 대해 북한이 반발해 공격을 감행했는지 여부를 확인중이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우리 해군이 (백령도 근해서) 호국훈련 중인데 오늘 북한이 전통문을 보내 (북한에 대한) 공격성이 아니냐는 항의가 있었다"면서 "이 부분과 연계된 게 있는지 확인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와 관련, 여야 정치권은 일제히 북한의 도발행위를 비판하고 나섰다.
안형환 한나라당 대변인은 이날 오후 긴급 브리핑에서 "충격과 우려를 넘어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면서 "연평도 지역에서 발생한 모든 피해에 대해선 북한이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정부와 군은 북한의 만행에 대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해야 한다. 우리 주민들의 인적,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면서 "한나라당은 현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정부와도 긴급히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차영 민주당 대변인도 "민주당은 어떤 경우에든 무력도발행위나 비인도적행위에 대해 반대한다"며 "북한의 도발행위는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정부는 평화를 위한 모든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며 “특히 주민안정을 위해 최우선의 조치를 긴급히 취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박선영 자유선진당 대변인도 "이번 북한 측의 포격은 우라늄 농축시설 공개에 이어 실전으로 선전포고를 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 논평했다.
그는 "확고한 응징태도를 북한에 보여주지 않는다면 얼마나 더 많은 도발을 할지 모른다. 국방 한계선 근처에서 불안에 떨 국민을 위해서라도 우리 군은 확고한 대응태세로 응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kyw@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