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형환 한나라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북한의 연평도 지역에 대한 포탄발사의 충격과 우려를 넘어서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연평도 지역에 발생한 모든 피해에 대해서 북한 측은 책임을 져야한다"고 촉구했다.
안 대변인은 "지금은 국가안보가 최우선인 상황"이라며 "정부와 긴급히 협의하면서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차영 민주당 대변인도 논평에서 "북한은 도발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하고 "정부는 평화를 위한 모든 조치, 특히 주민안전을 위해 최우선의 조치를 긴급히 취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박선영 자유선진당 대변은은 "북한이 우라늄 농축 시설을 공개한 데 이어 실전으로 선전포고를 한 것"이라며 "확고한 응징을 보여주지 않는다면 김정은 체제를 보여주기 위해 북한이 얼마나 더 많은 도발을 할 지 모른다"며 정부의 강력한 대응을 촉구했다.
우위영 민주노동당 대변인은 북한의 이번 공격으로 발생한 해군 장병 등의 사상자에 대해 애도와 위로의 뜻을 전한 뒤, "정부와 군 당국은 주민들을 최대한 안정시키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해야 한다. 이명박 정부는 지금 즉시 단절된 핫라인을 복구해 평화적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심재옥 진보신당 대변인은 "북한의 이번 도발은 정전 이후 우리 영토와 민간인에게 가해진 최초의 사건"이라면서도 "(이번 사태가)심각한 확전이나 전면전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부와 군 당국은 과도한 대응을 삼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여야는 이날 예정된 국회일정을 취소하고 긴급 최고위원회의와 의원총회를 열어 대응방안을 모색한다.
maeno@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