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저소득·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 대책도 내년 1월부터 조기 시행하는 한편, 무료 급식단체들이 구입하는 쌀을 시중 가격보다 85% 할인된 가격에 제공할 방침이다.
정부는 지난 30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동절기 서민생활 안정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4면>
정부는 우선 소득지원 효과가 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동절기 일자리 사업을 1월부터 조기 시행하고, 그동안 할인혜택을 받지 못했던 정부 지원 무료급식단체에 대해서도 양곡 가격을 85% 할인해주기로 했다.
이에 따라 무료급식단체는 현재 3만8650원짜리 20㎏ 쌀을 6250원에 구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년소녀가정과 한부모가족 등 생활이 어려운 가구를 대상으로 한 등유·액화천연가스(LPG) 등 긴급 연료 지원 대상도 지난해 4400가구에서 올해는 1만2000가구로 늘어난다.
이와 함께 앞으로는 재난피해 지원금을 7일 이내에 지원하고 가족 등에게 위임해 지급할 수 있도록 재난피해 지원금 제도도 개선했다.
정부는 동절기마다 반복되는 체불임금 문제와 노숙인 건강관리, 취약계층 주거, 방학 중 결식아동 급식, 주요 생필품 가격 등에 대한 지원·관리를 예년 수준 이상으로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불용예산을 활용, 동절기 취약가구 2만가구를 발굴하는 한편, 독거노인 2000가구를 대상으로 화재·가스활동 감지센서 및 응급호출기 설치를 지원할 예정이다.
국무총리실은 "이번 대책은 과거와 달리 새로운 재정 투입·확대보다는 도움이 절실한 저소득층과 취약계층이 적기에 일자리, 주택, 난방, 급식 등 실질적 지원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shiwall@ajnews.co.kr
[ⓒ ‘한·중·영·일 4개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