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OECD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 10월 경기선행지수(CLI)는 101.3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의 101.8보다 0.5포인트가 내려간 수치다.
지난 10월 OECD에서 CLI가 전월보다 내려간 나라는 한국과 터키(-0.4포인트), 호주·덴마크·뉴질랜드·슬로바키아(-0.2포인트), 캐나다·체코·이탈리아·일본(-0.1포인트)으로 한국의 하락폭이 제일 컸다.
CLI는 △산업활동 동향 △주택 동향 △금융·통화 현황 △국내총생산(GDP) 흐름을 복합적으로 계산한 것을 말한다. 이것은 앞으로 4~6개월 후의 경기를 예측하는 주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보통 CLI가 100 이상에서 증가하면 앞으로 4~6개월 후에 경기가 팽창할 것임을, 감소하면 경기가 하강할 것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은 CLI가 100을 넘어 전체적으로는 경기회복의 흐름을 내년에도 이어가겠지만 경기회복 속도는 상반기부터 느려질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의 CLI는 2009년 12월 104.8을 기록한 뒤 2010년 8월 102.3을 기록하며 8개월 연속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이에 앞서 통계청이 지난달 30일 발표한 ’2010년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현재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9로 전월의 101.2보다 1.3포인트 내려갔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10년 7월 102.2, 8월 102.1, 9월 101.2, 10월 99.9를 기록해 계속 낮아지고 있다.
앞으로의 경기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지수 전년 동월비도 3.4%를 기록해 전월보다 1.5%포인트 하락했다.
선행지수 전년 동월비는 지난 3월 9.7%를 기록해 전월보다 0.6%포인트 떨어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아주경제 이광효 기자 leekhyo@ajnews.co.kr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