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당초 서울시가 제출한 20조6107억원에 비해 206억원 감소한 예산안이다. 시의회는 본회의를 열어 예산안을 처리할 계획이다.
특히 복지 일자리 예산이 신설되거나 증액됐다. 친환경 무상급식 지원 695억원, 학습준비물비 지원 52억원, 학교시설 개선 278억원, 중증장애인 활동보조서비스 200억원, 영유아 국가예방접종사업 127억원, 공공근로 증원 101억원, 사회적기업 발굴 육성 75억원 등이 늘어났다.
반면 서해뱃길 사업 752억원과 한강예술섬 조성 공사 406억원, 몽골 울란바토르시 서울숲 조성 사업 26억원, 9988복지센터 등 건설 99억원, 문화와 예술이 있는 서울광장 15억원 등은 전액 삭감됐다.
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마케팅 등 서울 브랜드 향상 해외 마케팅 138억원, 재개발 임대주택 매입 212억원, 은평새길 건설 100억원, 강북정수센터 고도정수처리시설공사 200억원 등을 깎았다.
그러나 서울시는 민주당이 예산안을 일방적으로 통과시키고 무상급식 조례안을 재의결하면 증액된 무상급식 예산 등을 집행하지 않고 조례한 무효 가처분 신청을 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원안대로 집행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