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장료는 7천원(일반석)부터 50만원(스카이박스)까지 천차만별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화를 제외한 7개 구단이 23일까지 발표한 올 시즌 입장권 가격 자료에 따르면 고급 좌석을 중심으로 평일보다 주말에 가격을 올려 받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LG는 평일과 주말 구분 없이 잠실구장 프리미엄석(중앙 지정석) 가격을 2만원 올린 7만원, 테이블석은 1만원 올린 3만5천원을 받기로 했다.
LG의 ‘한지붕 두가족’인 두산은 1·3루 테이블 좌석의 1인당 가격을 5천원 오른 3만5천원으로 잡았다.
넥센 히어로즈도 목동구장에서 주말 홈 경기를 개최할 때 탁자 지정석 가격을 5천원 오른 3만5천원으로 정했다.
KIA는 좌석마다 주말 가격을 신설, 기존 가격의 10% 이상을 붙여서 받기로 했다.
중앙 지정석 쪽 K7 4인 가족석은 평일에는 12만원이고 주말에는 13만2천원으로 오른다.
삼성도 대구구장 외야 3·4인용 테이블석 가격을 5천원씩 올려 2만5천원과 3만원씩 받을 예정이다.
일찍부터 문학구장에서 차별화한 좌석제를 운영해 온 SK는 내야 패밀리존 4인석과 외야 패밀리존 4인석, 이마트 바비큐존 4인석, 홈런 커플존 2인석 등 인기 좌석의 주말 가격을 약간 올렸다.
SK는 대신 문학구장의 명물인 스카이박스 가격은 30만원(8인실)에서 50만원(16인실) 사이에 동결했다.
롯데는 한해 100만 명 이상 운집하는 구도(球都) 부산의 열혈팬들을 배려해 입장료를 작년과 똑같이 책정했다.
대부분 구단이 고급 좌석 가격을 자신 있게 올린 것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야구를 즐기고 싶은 팬들의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가족팬, 연인팬 및 회사 동료로 이뤄진 소규모 팬들이 증가하면서 이들을 위한 좌석 특화 전략이 통했다.
이런 팬들이 주말에 몰리면서 평일보다 가격을 올려 받는 주말 가격이 보편화됐다.
프로야구 입장 수입은 2009년 처음으로 300억원을 넘긴 데 이어 지난해는 412억원을 기록하며 그간의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그럼에도 입장권이 100달러에서 최고 2천500달러선인 미국프로야구나 일반석 가격이 7만~8만원선인 일본프로야구에 비하면 한국의 입장권 값은 저렴한 편이라는 지적이다.
한 구단 관계자는 한해 100억~200억원의 운영비 수지에서 적자를 보는 각 구단에 입장료는 아직 큰 수입이 아니지만 전체 수입에서 입장료가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