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서울대 2012학년도 신입생 입학전형안에 따르면 교육학·윤리교육과군 등 3개 모집단위가 기존 학과체제로 다시 전환한다.
사범대의 교육학·윤리교육과군은 교육학과와 윤리교육과로, 공대의 전기·컴퓨터공학부는 전기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로, 의류·식품영양학과군은 의류학과와 식품영양학과로 각각 나눠 별도로 신입생을 선발한다.
물리천문학부는 천문학과에 전공예약제를 도입해 실질적으로는 일부 신입생을 학과제로 뽑는다.
이 같은 개별학과로의 재전환은 이전부터 특정 인기학과에만 전공진입자가 쏠린다거나 모집단위 내 학문의 성격이 서로 이질적이라는 지적이 반영된 것이다.
실제 지난해 신입생이 2학년에 올라가면서 교육학과를 전공으로 선택하려면 1학년 성적 평점이 4.0을 넘어야 할 만큼 학점 경쟁이 치열했다.
또 전공선택에 인원 제한을 두지 않은 물리천문학부에서는 천문학과를 선택하는 학생이 매년 1∼3명에 불과해 심각한 전공 쏠림 현상을 낳았다.
소프트웨어 연구·개발에 중점을 둔 공대 컴퓨터공학부도 전공자가 정원을 채우지 못했으며 의류학과와 식품영양학과는 학문 성격이 이질적이어서 융합 효과가 없다는 평가를 받았다.
서울대 관계자는 “학문 간 융합을 통한 발전을 이루자는 본래 취지와는 다르게 학부 광역화 모집 효과가 일부 나타나지 못했다”며 “이에 일부 모집군은 모집단위를 분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