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후 7시부터 대학본부 앞 잔디밭에서 사상 첫 비상총회를 연 KAIST 학부총학생회는 서 총장에 대한 개혁실패 인정 요구를 안건으로 올렸으나 투표에 참여한 852명 가운데 찬성 학생이 과반수에 10명이 못미치는 416명에 그쳐 부결됐다.
이날 안건에 상정된 개혁실패 인정 요구안의 상정 이유로 총학은 “서 총장 취임 이래 각종 학사제도가 경쟁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는데 경쟁이 과열되고 학생들이 받는 심리적 압박이 심해지면서 애초에 예상했던 문제들이 현실화됐다”며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경쟁과 규제 일변도의 교육 정책과 방향의 실패를 총장 스스로 인정해야 한다”고 지적했으나 반대 의견이 만만치 않았던 것.
서 총장의 개혁실패 인정에 반대 의견을 낸 한 학생은 투표에 앞서 “나는 09학번으로 서남표 개혁에 전적인 영향을 받은 첫번째 세대”라면서 “미적분.물리.화학 공부하면서 고생했고 때문에 1학년 학점도 좋지 않지만 시험을 치르고 나면 열심히 했다는 기분에 아직도 행복한 느낌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다만 학교 정책결정 과정에 학생대표들이 참여하고 의결권을 보장하도록 제도화할 것을 요구하자는 안건에는 914명 중 872명이 찬성했다.
총학은 “현재 발생하고 있는 많은 문제들의 근본 원인은 우리의 의견이 반영될 수 없는 학교의 정책결정 구조에 있다. 이런 상황을 바탕으로 서 총장의 독단적인 개혁이 시행될 수 있었고 그에 반대하던 학생들의 목소리는 묵살됐다. 우리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방향의 정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직접 참여해 목소리를 내는 방법 뿐”이라며 이유를 제시해 학생들의 압도적 지지를 얻었다.
이와 함께 차등수업료 전면 폐지, 재수강 횟수제한 폐지, 전면 영어강의 방침 개정, 계절학기 수업 증설 및 수업료 정상화, 인문사회 선택과목 증설, 학사경고 1학년생 지원 강화, 복지 및 문화생활 개선, 지금까지 진행된 개혁에 대한 평가진행팀 구성 및 평가보고서 작성 공개, 총장선출시 학생투표권 보장 등 요구 안건들도 모두 통과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