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최근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어 소래포구와 배후지역에 대한 인천도시관리계획(용도지역·지구) 결정(변경)안을 심의했다.
도시·건축공동위원회는 소래포구의 인천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안이 논의사항 등이 많아 소위원회를 구성, 현장 확인 후 다음 달 재상정키로 했다.
소래포구의 인천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안은 소래포구 일대 8,428㎡를 특별계획구역 지정을 비롯 22만53㎡에 대해 시설현대화와 소래포구 배후지역의 노후건축물을 정비하는 사업이다.
시는 어시장을 현재 위치에서 30m 뒤쪽으로 이동해 판매시설을 조성, 1층으로 이전하는 방안과 기존 어시장을 정비해 시설현대화하고 배후지역에 판매시설을 별도로 건설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기존 어시장 상인들과 소래포구를 찾는 고객들의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포구와 바로 연결된 기존 어시장에서 장사를 하고 있는 상인들은 당장 최신식 종합어시장이 들어설 경우 손님 경쟁이 치열해질 것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여기에 기존 어시장과 주차장을 끼고 붙어 있는 횟집과 건어물시장 상인들의 한숨은 그칠 줄 모르고 있다.
이와 함께 소래포구를 찾는 손님들의 불만의 목소리도 조금씩 커지고 있다.소래포구 시장의 고질적인 문제인 교통 체증과 호객행위가 소래포구 종합어시장이 건립되면 절정에 이를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서다.
밀려드는 인파로 발 디딜 틈 없는 평일 퇴근 시간대는 물론이고, 황금 주말 연휴에 몰아칠 차량들로 일대 교통이 마비될 것이라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기존 어시장 상인과 시민들은 기존 소래포구 어시장에 대한 현대화 사업이 우선적으로 정리된 뒤 대단위 종합어시장 사업을 실시해도 늦지 않다는 의견이다.
관할행정구역인 남동구 측은 합법적으로 판매시설 건축허가를 취득한 만큼 기존 어시장이 피해를 보지 않게끔 시설 현대화 및 활성화 사업으로 뒷받침하면 된다는 설명이다.
어시장 상인 A씨는 “개발논리를 앞세워 사업 추진했다가 장기간 지연돼 재산권 행사가 제한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무엇보다 주민의견수렴 과정이 선행되고 이에 따라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