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원내대표는 이날 아주경제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개혁소장파가 바라는 개혁을 이뤄주고 싶다. 그런데 당 쇄신을 완성하려면 중진급의원들의 경륜과 지혜를 늘 비춰보는 과정이 필요하다”며 “내가 ‘개혁’ 행동의 방향제시를 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소장파의 개혁의지를 존중하고 중진들의 조절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조정자 역할도 마다치 않겠다는 것이다.
황 원내대표는 이번 경선에서 당 쇄신의 동력을 마련했다고 봤다. 그는 “소장파와 중진그룹의 결합으로 당이 변화했고, 국민이 이를 받아들이는 좋은 경험을 했다”고 평가했다.
황 원내대표는 여권쇄신은 당, 국회, 당청관계 등 3대 방향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우선 당을 의회의 꽃이자 독립기관인 의원들이 중심이 되도록 이끌겠다”며 “다른 당직자들은 의원들의 의정활동이 빛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맡게 하겠다”고 말했다.
국회 쇄신에 대해선 “여야의 균형있는 역할분담이 필요하다”며 “그 토대에서 토론과 타협을 통해 몸싸움 없는 일하는 국회를 만들도록 힘쓰겠다”고 약속했다.
황 원내대표는 당청관계 대목에선 더욱 목소리를 높였다. “국민의 뜻을 제대로 전달하는 수평적 당청관계를 복원하겠다”며 “성공한 이명박 대통령을 만들기 위해 힘들더라도 적극적으로 수평관계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만약 수평적 당·청 관계를 만들지 못하면 의원들이 나를 가만 두지 않을 것”이라고 배수진을 쳤다.
“한나라당이 권력에 취해서 계파 싸움이나 숫자 놀음만 하고 청와대에 대해 제대로 야단치지 못한 것을 바로잡을 마지막 기회”라며 절박감도 내비쳤다.
또 이명박 대통령에 대해서도 “대통령이 할 일은 일방적으로 지시를 내리는 게 아니라 개별 의원들을 설득하는 일”이라고 쓴소리를 했다.
황 원내대표는 ‘박근혜 역할론’과 관련, “박근혜 전 대표는 당의 아주 중요한 자산이기 때문에 일할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만나면 허심탄회하게 당헌ㆍ당규 개정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재오 특임장관의 거취와 관련, “이번 재보선에서 성난 파도와 같은 민심의 요구를 이 장관은 잘 알 것”이라며 “이를 고려해 적절한 위치에서 일하면 좋겠다”고 즉답을 피했다.
6월 국회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처리에 대해선 “원내대표로서 강행처리 등 국회법의 극한적 제도를 활용하는 것을 절대적으로 피하겠다”며 “야당도 몸싸움이 아닌 대화와 타협의 자세로 나와야 할 것”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