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재는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3.0%로 동결한 직후 기자회견을 통해 "전월대비 물가 상승폭이 0%임을 강조했지만 물가가 안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언급, 물가상승을 인식하고 있음을 언급했다.
하지만 김 총재는 “환율이 물가안정에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환율 정책을 물가만을 위해 쓸 수는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언급하며 모든 변수를 고려해야하는 어려움을 말했다.
대신 김 총재는 금리동결에 대해 “대외적 위험 요인과 저축은행 문제 등 내부적으로 상당한 위험 요인을 고려했을 때 이번에는 신중하게 판단해야 해 (기준금리를) 현 수준으로 두고 앞으로 보자고 판단했다”면서도 “물가를 봐서는 낮은 수준이 아니어서 기준금리 정상화는 가야겠다”고 밝혀 향후 추가 기준금리 인상의 가능성을 언급했다.
또한 김 총재는 김석동 금융위원장의 발언을 의식한 듯 “(한은법과 조사권은) 글로벌 경제에 살면서 글로벌 추세에 맞는 감독기구와 중앙은행 역할 필요하다는 시각에서 접근해야 하며 (글로벌) 추세 보고 얘기해야지 벗어난 것을 가지고 얘기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다고 지적했다.
특히 단독 조사권에 대해서는 “특정 금융회사나 은행에 긴급 유동성 공급이 필요하거나 사정상 공동검사가 되지 않을 때 중앙은행이 책임질 사항이면 그때 하겠다는 것”이라며 단독 조사권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김 총재는 외환보유액의 투자 다변화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투자 다변화는 세가지 기본 원칙 있으며 안전성과 유동성은 바꿀 수 없는 원칙이다. 이를 지키는 하에서 소위 말하는 수익성을 고려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이번 금리동결이 5.1부동산 대책 고려된 결정인지를 묻는 질문에는 “5.1 부동산 대책이 효과 나타내려면 시간이 걸리지만 그 자체의 영향에 대해서는 나름대로 보고 있다”면서 “큰 물가라는 변수를 금리로 통제해야 하는 것은 어려운데, 변수 하나하나만 가지고 연결하는 것은 예측이 어렵다”고 밝혔다.
(아주경제 김희준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