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는 일본 소프트뱅크와 함께 일본 기업들을 위한 데이터센터 서비스 및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합작회사를 설립하고 전용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고 30일 밝혔다.
이석채 KT 회장과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은 이날 일본 도쿄 시오도메에서 1200여개 일본 기업과 언론사를 대상으로 컨퍼런스를 열고 이번 프로젝트의 추진배경 및 향후 KT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우선 KT와 소프트뱅크는 각각 51%, 49% 지분을 보유한 합작회사를 오는 9월까지 설립한다.
합작 회사는 데이터센터 구축부터 향후 서비스 제공까지 기술적 부분을 담당한다.
전용 데이터센터는 일본에서 가깝고 한·일간 해저 광케이블의 시작점인 부산 인근(김해 국제공항에서 20Km 이내)에 10월까지 구축될 예정이다.
우선 10월 말까지 김해에 서버 1만대 규모의 6000㎾ 규모의 센터를 구축하고 2012년 상반기 중 2만㎾ 규모로 증설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한·일간 네트워크도 10G급의 대용량 전용라인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앞서 일본 정부는 대지진으로 전력난이 가중되자 기업들에 ‘전력 사용 제한령’을 내렸다.
기업은 정부 방침에 따라 올 7월부터 전력 사용량의 15%를 감축해야 한다.
이로 인해 전력 수요가 많은 데이터센터를 한국에 두면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KT와 소프트뱅크는 김해 데이터센터가 완성되기 전까지는 서울 목동 데이터센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KT는 이번 일본시장 진출을 계기로 한국을 글로벌 데이터 센터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IDC의 분석자료에 따르면 현재 일본의 데이터 센터 시장규모는 올해 5800억엔(약7조5000억원)이며 매년 약 9.7%의 성장이 전망된다.
합작사는 2014년 2450억엔(약3조20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석채 KT 회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IT가 내수산업이라는 통념을 깨고 글로벌 진출의 초석을 마련한 첫 사례"라며 "이를 발전시켜 한국을 글로벌 데이터 센터 허브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