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최장욱·강정구 교수 연구팀이 그래핀에 질소 원소를 덧붙여 ‘초용량 축전지(Supercapacitor;저장 용량이 커 전지와 축전지의 장점을 모두 가진 소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그래핀은 흑연의 탄소 원자 배열과 같은 모양이다. 두께는 원자 하나 정도에 불과한 2차원의 탄소 나노 구조체다.
흑연에서 한 겹의 원자 층을 벗겨낸 것으로 전자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전도성이 좋고 강도 등 물리적 성질도 뛰어나 ‘꿈의 신소재’로 알려졌다.
이번 논문은 나노과학 분야 권위지인 미국의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온라인판에 최근 실렸다.
최장욱 교수는 “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그래핀을 이용한 초용량 축전지가 차세대 전기자동차, 스마트 그리드(차세대 지능형 전력망) 등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