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6일 ‘브릭스 10년의 평가 및 신(新) 브릭스의 등장’ 보고서에서 “2009년 이후 풍부한 국제유동성이 신흥국으로 유입돼 신흥국 자산거품이 형성돼 금융불안을 야기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급격한 자본유출 가능성에 대비해 개별국 여건에 맞는 적절한 거시경제정책과 거시건전성 수단, 단기자본유입 규제를 위한 적절한 대응을 추진해야 한다”며 “신흥국으로의 자금유입 쏠림은 다시 유출의 쏠림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비정상적인 자국통화 절상 압박을 완화하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재정부는 “풍부한 국제유동성과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이 신흥국 인플레 압력요인으로 작용해 경기회복과 장기적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며 “원자재가격 상승과 신흥국의 수요 증가 등 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수급 불균형은 더욱 심화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재정부는 신흥국 소비시장의 급성장과 중산층 확대는 글로벌 불균형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것은 인정했다.
재정부는 “선진국의 수입이 감소추세인 가운데 남남교역 규모가 세계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 7%에서 2009년 17%로 늘었다”며 “중국·인도·브라질과 최빈국의 남남교역은 1999∼2009년간 연평균 30% 이상 증가했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2000년대 BRICs의 연평균 소비증가율은 12.7%, 수입증가율은 17.9%로 선진국의 3배 정도나 된다.
BRICs 국가의 중산층 인구는 G7 전체인구인 7억명보다 많은 8억명으로 추산되고 오는 2020년에는 16억명을 넘을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