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검찰과 정치권 등에 따르면, 부산저축은행 비리 사건을 수사 중인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부장 김홍일 검사장)는 최근 이 은행 김양(구속기소) 부회장이 해외 도피 중인 로비스트 박태규씨를 통해 청와대 수석급 인사에게 은행 퇴출저지 등을 청탁했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사실관계를 확인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로부터 청탁을 받았다는 청와대 인사는 김두우 기획관리실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민주당도 앞서 국회 대정부질문 등을 통해 “김 실장이 언론인 시절부터 박씨와 친한 사이”라며 관련 의혹을 제기했으나, 당시 김 실장은 “대꾸할 가치를 못 느낀다”고 반박한 바 있다.
또 청와대는 야당의 잇단 의혹제기에 맞서 “저축은행 로비는 현 정권에선 실패했다”고 단언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권재진 청와대 민정수석이 사법연수원 동기이자 부산저축은행 고문변호사를 맡았던 박종록 변호사로부터 로비를 받은 정황이 드러난데 이어, 김 실장마저 수사선상에 오름에 따라 청와대 또한 검찰의 사정권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 외에도 청와대 인사들 가운데 백용호 정책실장이 2007년부터 14개월간 부산저축은행 계열사인 서울신용평가정보의 고문으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됐고, 정진석 정무수석은 2004년부터 3년간 삼화저축은행 사외이사 및 감사로 재직한 것으로 드러났다.
물론 이름이 거론된 인사들은 하나 같이 “로비와는 무관함”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향후 수사방향에 따라 청와대가 치명상을 입는 경우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수도권 출신의 한나라당 재선 의원은 “이명박 대통령이 ‘공정사회 실현’ 차원에서 직접 저축은행 비리에 대한 단호한 조처를 주문한 마당에 청와대 등 ‘윗선’의 연루의혹이 일부라도 사실로 밝혀진다면 정부·여당의 존립기반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나 검찰이 사건 해결의 ‘키’를 쥐고 있는 로비스트 박씨의 신병을 아직 확보하지 못한 상황인 만큼 "검찰 수사가 더 이상 속도를 내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적지 않다.
한편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는 이날 청와대 참모진 개편 대상에 저축은행 사건 연루 의혹이 제기된 정 수석 등이 포함된데 대해 "이번 인사가 '꼬리 자르기'란 의혹을 안 받게 하려면 청와대는 왜 인사를 하는지, 누구에게 무슨 책임이 있는지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