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투트랙] 전문가진단 "구조조정 앞서 뱅크런 막아라"

  • 신속한 예금자보호로 불안·불신 해소<br/>저축은행 규모별 차별화된 구조조정 필요 

(아주경제 방영덕 기자) 전문가들은 저축은행의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앞서 대량 예금인출 사태(뱅크런) 방지에 최선을 다할 것을 주문했다. 또한 구조조정의 원인이 결국 먹고 살거리가 마땅치 않은 업계 환경에 있음을 지적하며 이를 동시에 개선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저축은행의 구조조정에서 현재 가장 큰 불안 요인으로 떠오른 것은 뱅크런이다. 최근 제일저축은행 사례에서 보듯 저축은행 예금자들은 조그만 악재에도 크게 동요해 돈을 빼가고 있다. 이는 곧 저축은행 유동성의 위기를 초래해 또 다른 부실화를 야기한다.
 
이재연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저축은행 예금자들 사이에선 'Fisrt come, First served(선착순)'의식이 강하다"며 "은행은 망하더라도 내 돈은 안전하다는 생각이 들어야 하는데 전혀 그렇지 못한 탓에 서둘러 돈을 빼려고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종수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도 "저축은행이 영업정지가 되면 일단 몇 달 동안 돈이 묶이고 이자를 제대로 받지 못한다는 생각이 팽배해 있다"며 "이런 생각들이 뱅크런을 부추기고 있다"고 말했다.
 
하반기 저축은행의 구조조정을 하기 전에 예금자들의 불안과 불신을 해소하는 일이 관건으로 떠오른 것이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5000만원 이하 예금액은 전액 빠른 시일 내 되찾을 수 있도록 예금자보호제도를 제때 제대로 작동하는 일이 중요하다"며 "외국의 사례처럼 보통 일주일 내 예금액을 찾게끔 해 예금자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등 이런 신속함으로 시장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구조조정을 계기로 저축은행이 먹고 살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박덕배 현대경제연구원 전문연구위원은 "현재 저축은행의 부실이 야기된 배경을 살펴보면 저축은행만의 수익처가 마땅치 않았다는 점에 있다"며 "업무영역 범위가 상당히 제한된 상황에서 구조조정 이후 먹고 살거리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으면 다시 똑같은 문제들이 발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저축은행이 할 수 있는 서민금융의 범위는 점점 좁아지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개인 소액신용대출의 경우 이미 대부업체에 대부분의 시장을 뺏긴 상황이어서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방안을 통해 활로 모색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저축은행의 규모별로 차별적인 구조조정이 이뤄질 때 저축은행의 먹고 살거리를 찾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박 전문연구위원은 "이미 대형화된 저축은행에 구멍가게 수준의 영업을 강요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대형 계열화된 저축은행의 경우 지역의 중소기업 등을 지원하는 지방은행화를, 중소형 저축은행들은 지역밀착화로, 이밖에 영세한 저축은행들은 자본 확충 등을 통해 그야말로 서민금융기관으로 거듭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