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이 같은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인수 가능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이다.
이건호 KDI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현 시점에서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인수는 금융당국이 승인만 하면 성사될 수 있는 문제”라고 언급했다.
특히 현재 고등법원에서 진행 중인 '론스타 재판'에 대해서는 "재판이 진행 중인 사안은 본질적인 면에서 하나금융이 외환은행을 인수할 자격이 있는가, 혹은 론스타가 외환은행의 지분을 매각할 자격이 있는가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단언했다.
이 교수는 따라서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인수는 결국 금융당국이 법원판결 이전에 승인과 관련된 결론을 내리지 않는다면 인수가 불가능한 만큼 전망의 문제가 아니라 당국의 의지에 달린 문제라는 입장이다.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인수 가능성에 대해 현대경제연구원 박덕배 연구위원은 “결국에는 서로 타협이 되어 인수 가능한 여건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인수 과정에서의 조건 문제로 상당한 진통이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박 위원은 하나금융의 또 다른 대안으로 SC제일은행과 같은 중규모 금융기관의 인수협상 등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홍익대 전성인 교수의 입장은 다르다. 특히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론스타의 비금융주력자 여부가 밝혀진다면 외환은행 인수에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특히 2003년 외환은행 인수시 론스타의 비금융주력자 여부가 판정될 경우 론스타 보유주식의 대부분은 이전 소유자에게 반환되야 하는데 이 경우 하나금융으로서도 주식인수가 어려운 상황이 전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따라서 하나금융은 론스타의 법적 불안정성이 해소될 때까지는 론스타와의 거래를 자제하는 것이 장기적인 안목에서 회사와 투자자 이익에 합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