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심리적 저항선으로 여겨지던 1070원대의 원·달러 환율이 무너지면서 치솟고 있는 물가와 수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3일 지식경제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환율하락세가 추세화 되면서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지나 않을지 노심초사하고 있다.
상반기 교역규모가 5534억 달러를 기록해 사상 최대치를 돌파하긴 했지만, 양대 수출시장인 미국의 경기 둔화, 중국의 긴축 가능성이 여전히 잠재해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분석이다.
특히 경제전문가들이 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금리와 환율'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지적을 내놓으면서 정부가 환율하락을 용인하는 게 아니냐는 분석마저 나오고 있다.
실제로 지난주 내내 1070~1080원대를 오르내리던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30일을 기점으로 1060원대로 내려앉았고, 지난 1일 상반기 무역수지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높게 나타나자 환율하락을 부채질했다.
시중은행의 한 딜러는 “정부가 물가 안정 의지를 강조한 만큼 이제 환율 기조를 어느 정도 용인할 것으로 본다”며 “정부가 환율 하락을 인위적으로 막지 않는다면 환율은 1050원대까지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통상 환율이 내려가면 수입가격을 떨어뜨려 물가에는 호재가 된다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또한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물가불안이 우리나라만의 상황이 아닌 세계적인 추세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로 농축수산물 수급이 불안정한데다 국제유가마저 배럴당 110달러대로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다.
이에 따라 최중경 지경부 장관은 환율을 떨어뜨려 물가를 잡는 방식에 대해 분명한 반대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품질경쟁력이 높아진 대기업들은 환율에 대한 저항성이 커졌지만, 상대적으로 중소기업들은 환율이 내려가게 되면 가격경쟁력이 저하돼 수익에 치명타를 입는다는 분석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그러잖아도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양극화가 심한 상태에서 채산성 악화→소득감소→구매력 저하라는 악순환을 가져올 수 있다"며 "지나친 환율하락은 물가와 수출 모두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