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나긴 장마…수입물가관리 적신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7-12 15:3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중국발 물가 불안이 기나긴 장마기간과 겹치면서 수입물가관리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국내 농수산물 수입액 243억달러 중 15.3%에 달하는 중국 물가 상승은 1~3개월 시차를 두고 국내 물가에 직격탄을 날려 왔다는 점에서 당국을 긴장케 하고 있다.

12일 기획재정부와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 6월 중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4% 급등, 34개월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하반기에도 이같은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중국 소비자물가가 1%포인트 오를 경우 국내 소비자물가는 0.06%포인트 상승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국제유가가 1%포인트 오를 때 국내 소비자물가가 0.02% 오른다는 점을 감안하면 중국 물가의 영향력이 얼마나 큰 지를 알 수 있다.

상반기 중국의 생산자물가 상승률도 7.0%를 기록했고, 12차 5개년(2011~2015년) 개발계획에서 근로자 최저임금을 연평균 13% 이상 올리기로 한 점도 물가 상승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올해 장마기간이 예년보다 길고, 강우량이 많아지면서 지난해 태풍 ‘곤파스’와 이상기온 탓에 대혼돈을 겪었던 배추파동의 악몽이 되살아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섞인 목소리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무려 10배 이상 급등했던 배추파동 당시에는 중국 등 이웃 국가를 통한 긴급 수입처 확보와 농협 등의 계약재배 물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허겁지겁 대책을 마련할 수 밖에 없었다.

여기에 올 상반기(1~6월) 세계 식량가격 상승률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것도 국내 물가관리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동안 평균 세계식량 가격지수는 233.4(2000~2004년=100)로 지난해 연평균(185.1)보다 26.1%나 올랐다. 이는 식량가격이 급등했던 지난 2008년(25.9%)을 이미 넘어섰다. 밀과 옥수수 등 곡물류 작황 부진 전망에 올해 곡물가격은 지난해보다 40.5%나 뛰었다.

앞서 FAO는 올해 밀 등 전 세계 곡물 생산량이 22억1600만t으로 지난해보다 2.1% 줄어들지만, 수요는 22억5400만t으로 1.3% 늘어 이미 공급 부족 현상을 예고한 바 있다.

배추처럼 단기적으로나마 비상조치를 시행할 수 있었지만 곡물은 다르다. 밀과 옥수수, 콩 등 곡물은 기후가 맞지 않아 국내 재배면적에 한계가 있으므로 안정적인 수입처 확보가 생명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배추파동에서 확인했듯이 곡물의 경우에도 국제 시장의 공급량에 한계상황이 오면 가수요가 유발돼 가격이 사고 싶어도 살 수 없는 상황까지 전개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국내외 가공식품산업에도 악영향을 미쳐 6개월 연속 4%를 웃돈 물가급등세에 기름을 부을 가능성마저 우려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