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도역과 철로 위에 인공대지를 만들고, 상부에 집을 짓는 방법이 추진된다. 사진은 선로 상부 활용 조감도. |
(아주경제 유희석 기자) 철도역과 철로 위에 인공대지를 만들어 주택을 건설하고, 이를 취약계층의 주거 지원에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한국교통연구원은 13일 오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철도부지의 입체복합개발을 통한 도심 주거단지 조성'에 관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방안을 제안할 예정이라고 12일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국유지인 철도 부지 개발은 국가의 재정 지원이 없어도 설계부터 공사, 입주까지 4~5년이면 완료할 수 있다. 또한 단기간에 도심 취약계층을 위한 주거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 도시재정비촉진지구, 역세권 개발사업은 주민들 사이의 의견 불일치, 토지수용과 보상에 따른 사업기간의 장기화가 불가피하지만 철도역과 선로의 입체복합 개발은 이런 부작용이 따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연구원은 도심과 인접한 가좌역 철도선로 상부에 데크를 깔고 인공대지를 조성하면 420실 규모의 대학생 기숙사 2개동, 총 400가구의 장기전세아파트, 240실 규모의 도시형 생활주택을 공급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대학생 기숙사는 주요 사립대 민자 기숙사의 38% 수준인 1인당 15만원, 도심형 생활주택은 주변 오피스텔의 80% 수준인 월 40만원에 입주가 가능하고, 장기전세아파트는 주변 시세보다 훨씬 저렴한 전세보증금 1억2000만원에 최대 20년 거주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원은 또한 이런 개발 방식은 국가의 재정 지원이 없어도 사업비를 철도시설공단의 장기채권 발행, 전세보증금, 임대수입 등으로 충당할 수 있을 뿐 아니라 25년 후 리모델링 비용까지 뽑을 수 있는 경제적인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총 분석 기간을 25년으로 상정할 때 가좌역 개발에 들어가는 총비용은 공사비 1천7억원, 리모델링 비용 263억원을 포함해 3069억여원으로 예상되는 반면 전세보조금, 임대수입 등을 합한 총수입은 3150억원으로 추산돼 오히려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원 관계자는 "서울지역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신촌역, 노량진역, 망우역, 영등포역, 신도림역, 이문차량 기지 등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 6개역을 개발할 경우 22평형 아파트 3856세대, 생활주택 2313실, 2인1실의 기숙사 8097실의 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