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강원랜드 임시주주총회에서 1대 주주인 정부가 신임 사장과 전무이사를 모두 선임하자 강원도와 폐광지역 주민 등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강원도는 이날 '강원랜드 상임이사 선임과 관련한 도의 입장'이라는 성명을 통해 "강원랜드 설립 당시 체결한 '합작투자계약서'에 따라 정부는 사장을, 강원도는 전무이사를 추천해 왔다"며 "이같은 합의와 관례를 깬 것은 폐광지역 아픔을 치유하기 위해 설립한 강원랜드 설립 목적에도 어긋난다"고 밝혔다.
이어 "강원랜드가 폐광지역 경제진흥을 위한 본연의 경영에 충실하려면 최소한 전무이사는 폐광지역에서 추천하는 인사가 선임돼야 한다"며 "이번 결정으로 폐광지역은 주주로서 주식을 보유한 의미가 퇴색되고, 강원랜드도 단순히 배당금만 주는 일반 기업으로 전락했다"고 주장했다.
또 "이번 임시주총 결과는 폐광지역 주민의 생존권을 심각히 저해하는 결정"이라며 "도는 강원랜드 경영에 참여하기 위한 조직개편 등 제반 조치를 취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강원랜드는 이날 제104차 이사회에서 제7대 대표이사에 최흥집(60) 전(前) 강원도 정무부지사를, 전무이사에 김성원(59) 전(前) 국회사무처 특별위원회 수석전문위원을 각각 선임했다./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