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초 위기 용산국제업무지구 발등의 불은 껐지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7-13 18:0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수익성 개선됐다고 했지만 아직은 불투명<br/>서부이촌동 보상 협의도 넘어산 높은 산

(아주경제 정수영 기자) 단군이래 최대 프로젝트라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대규모 유상증자와 토지대금 납부 조건 완화 등을 담은 정상화 방안 마련으로 좌초 위기에서 벗어나 한 숨을 돌리게 됐다.

코레일과 용산역세권개발(사업시행자인 드림허브 프로젝트금융투자의 자산관리회사)이 13일 내놓은 정상화 방안의 핵심 내용은 토지대금 납부를 위한 자금 조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지만 수익성 문제와 서부이촌동 보상 협의 등 근본적으로 해결돼야 할 숙제들이 남아 있어 사업의 순항 궤도 진입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 급한 불은 일단 껐지만…

드림허브 출자사들은 유상증자로 4000억원을 조달하고 코레일은 4조1623억원 규모의 랜드마크빌딩을 선매입해 자금을 조달하겠다는 것이다. 또 이자부담 완화와 대금 납부 시기를 뒤로 미뤘다. 발등의 불인 단기 유동성 문제를 해결한다는 의미다.

코레일과 이를 통해 약 6조1300억원에 달하는 재무구조 개선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결국 땅 주인이자 드림허브의 최대주주인 코레일이‘총대’를 맨 것이다. 삼성물산이 프로젝트에서 빠진 뒤 국내 건설사와 중국이나 중동 국가를 대상으로 투자유치 활동을 벌였지만 성과를 내지 못하자 내놓은 고육지책인 셈이다.

코레일의 ‘통큰’ 결정으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의 수익성은 다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이자비용 경감 등으로 사업비 부담이 줄어 아파트의 경우 3.3㎡당 분양가가 평균 500만~500만원 정도 내릴 것이라는 분석이다.

용산역 주변 주상복합아파트 분양가가 3.3㎡당 3500만~4000만원선임을 감안하면 3000만원대 초ㆍ중반까지도 내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사업성이 개선된 만큼 투자자 유치도 속도를 낼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일단 토지 중도금 납부 시점은 연기됐지만, 2015년 이후 5조원이 넘는 돈을 토지 대금으로 추가 지불해야 한다. 일정이 조금 늦춰지기는 했지만 결국 적지 않은 ‘목돈’이 부담으로 남아 있다.

또 드림허브에서 줄기차게 요구해 온 용적률 상향 조정 문제도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다. 서울시는 이날 “여러 가지 지원방안이 거론되고 있다”면서도 “용적률 상향 등 구체적인 지원방안에 대해서는 협의가 없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산' 서부이촌동 보상문제

자금 문제가 해결된다고 해서 끝나는 것은 아니다. 바로 서부이촌동 주민들과의 보상 문제다.

서부이촌동 보상 문제는 서울시 산하 SH공사가 맡아서 진행키로 했다. 랜드마크빌딩 계약과 1500억원의 유상증자가 이뤄지는 9월 중 서울시와 용산구청, 드림허브 공동주관으로 주민설명회를 열고, 보상일정을 포함한 종합 이주대책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서부이촌동 통합개발 반대 목소리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고, 또 주민간 이견도 팽팽히 맞서는 등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의 성패 여부는 자금조달 문제도 중요하지만 서부이촌동 통합개발에 따른 주민보상 문제를 얼마나 슬기롭게 해결하느냐가 관건”이라며 “이 문제가 쉽게 풀리지 않을 경우 의외의 상황으로 번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