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차관은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제2차 시도경제협의회'를 개최하고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전통시장 가는 날', '1기관-1시장 자매결연', 국내관광 활성화 등에 지자체와 지방 공기업이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우선 물가안정과 관련, 지자체에서 지방물가관리시스템을 별도로 구축해 지방공공요금과 개인서비스 요금 등을 공개하라고 요청했다.
임 차관은 "특히 지방공공요금의 경우 최대한 안정적으로 유지해나가되, 불가피하게 인상하더라도 소비자물가 상승률 범위내에서 인상폭을 줄이고 인상시기를 분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단체가 지정하는 가격안정 우수업소(착한가게)에 대한 지자체 차원의 인센티브를 제공해 달라"며 "바가지 요금없는 제값받기 운동(통영), 할인판매의 날(충남), 물가우수 시장홍보(전남) 등의 우수사례를 발굴해 확산해달라"고 당부했다.
내수활성화에 대해서는 부산의 해수욕장 사계절 활성화, 대구의 의료관광 육성, 인천시의 중국 주간행사 등 국내관광 활성화에 노력해달라고 주문했다.
또 경기도의 물가관리 전담부서 운영, 충북의 구내식당 휴무제, 대전의 고속도로 IC특성화 사업, 강원도의 수도권 이동장터 등 모범사례를 소개했다.
한편 이번 회의는 지난 4월 열린 '제2차 협의회'에 이은 것으로, 재정부는 당초 1년에 1번 개최했던 회의를 올해에는 3번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재정부 관계자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개최하던 것으로 올해는 여러가지 이슈에 대해 지자체의 협조가 필요한 만큼 3번정도 열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