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또 이들로부터 돈을 받고 사망자 정보를 주거나 장례식장에 사망자를 보낸 혐의(배임수재)로 병원 직원 정모(65)씨, 상조업체 행사팀장 김모(43.여)씨를 비롯해 8명을 불구속기소했다.
아울러 이씨에게 변사자 정보를 제공한 대가로 금품을 받거나 상습적으로 변사 정보를 건넨 경찰관과 소방관 등 13명의 비위사실을 해당 기관에 통보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씨는 작년 1월부터 지난 8월까지 영등포, 구로 일대에서 경찰관 7명에게 23차례에 걸쳐 455만원을 주고 변사 정보를 입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또 이씨는 2009년 1월부터 지난 9월까지 사망자 정보를 제공받는 대가로 상조회사 팀장, 병원 직원 등에게 846차례에 걸쳐 1억8396만원을 주는 등 2년9개월에 걸쳐 250여명에게 2억여원을 건넸다.
병원 직원 정씨는 작년 7월부터 지난 9월까지 사망자 정보를 제공하고 장례를 유치하게 해준 대가로 이씨로부터 2020만원을, 상조업체 팀장 김씨는 2009년 4월부터 지난 9월까지 같은 식으로 390만원을 챙겼다.
비위사실이 통보된 경찰관 중 5명은 변사정보를 제공하면서 한번에 20만원씩, 많게는 총 160만원까지 받았다.
일부 경찰관과 소방관은 장례식장 업주 이씨로부터 차명 휴대전화를 제공받아 변사 정보를 알려주는 ‘핫라인’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조사결과 업주 이씨는 전직 경찰 신분을 활용해 참가한 관내 지구대 회식 등에서 친분 관계를 쌓은 뒤 변사 정보를 입수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씨는 이를 통해 변사자 발생 시 신속하게 장례식장 운구차량을 현장에 보내 변사자 운구에서 우선권을 차지했다.
검찰 관계자는 “장례식장 업주가 장례 알선료 외에도 장례 절차 전반에 걸쳐 리베이트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 같은 구조로 장례비 부담이 증가하는 등 유족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또 업주 이씨와 불법게임장을 운영한 혐의(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위반)로 김모(43), 전모(42)씨를 구속기소하고 범죄수익 10억원을 추징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